본 연구는 국내 공립 5개 초등학교의 교내 도서관 대출도서를 중심으로 1, 2학년 학생들이 선호하는 그림책의 특성을 분석한 것이다. 선호도 분석을 위한 기준은 네 가지로‘작가 및 출판국가와 출판연도’, ‘장르’, ‘주제’, ‘그림의 표현기법’이다. 연구 대상은 4개 지역 5개 초등학교 저학년 1,485명이며, 자료는 이 학생들이 교내 도서관에서 2023.03.02.~2023.08.31. 동안 대출한 그림책 상위 100권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저학년이 선호하는 그림책의 국가는 한국, 일본, 미국, 영국 순이었고, 저학년들은 출판연도가 2000년대 이후인 그림책을 선호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운문그림책이나 정보 그림책보다는 이야기가 있는 그림책을 선호하였으며, 특히 판타지 이야기의 선호 비중이 가장 높았다. 다음으로 저학년이 가장 선호하는 그림책의 주제는 ‘성장’, ‘기호’, ‘가족’ 순이었으며, 그림의 표현양식으로는 작가의 개성이 가장 잘 표현되는 ‘작가적 표현양식’을 가장 좋아하였다. 저학년의 그림책에 대한 선호도를 알아본 연구는 향후 관련 연구에 대한 토대를 제공할 수 있다.
This study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picture books preferred by first and second graders, focusing on in-school library loan books of five public elementary schools in Korea. There are four criteria for preference analysis: ‘author’, ‘publisher and publishing year',‘genre',‘theme', and‘painting style'.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1,485 lower grades from five elementary schools in four regions, and the data targeted the top 100 picture books that these students borrowed from the school library from 2023.03.02. to 2023.08.31.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countries preferred by the lower grades were Korea, Japan, the United States, and the United Kingdom in order, and the lower grades tended to prefer picture books with publication years after the 2000s. In addition, picture books with stories were preferred over verse picture books and information picture books, and fantasy stories were especially preferred. Next, the subjects of the lower grade's most preferred picture books were ‘growth’, ‘preference’, and ‘family’. Then 1st and 2nd graders preferred‘artist style' that shows well artist's personality. Research examining the preference for picture books of lower grades can provide a basis for future related research. First, it can be a starting point for research comparing parents and teachers' preferences for picture books with children's preferences within the concept of dual readers, and can provide clues to picture books that school teachers can use in the curriculum. It will also help you understand children's emotions through picture books and understand their level of understanding, emotions, and thoughts about picture books in depth.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III. 연구 방법
Ⅳ. 분석 결과
Ⅴ. 결론 및 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