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남자 대학생의 남성다움 위협이 부적정서와 상태자존감에 미치는 영향: 남성다움 자극의 중재효과

The Effects of Manhood Threat on Negative Emotions and State Self-Esteem in Male University Students : The Moderation Effect of Manhood Stimulation

  • 85

본 연구는 남자 대학생의 남성다움 위협이 부적정서와 상태자존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남성다움 자극의 중재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온라인 리서치 기관을 통해 자발적으로 참여한 남자 대학생 62명을 대상으로 사전검사(성역할 정체성 척도, 다차원적 정서 형용사 척도, 상태자존감 척도) 실시 후 영화 300의 축약본(남성다움 자극 집단) 또는 지구의 탄생(성역할 중립 집단) 동영상으로 구분한 두 개의 집단 중 하나의 집단에 무선 배정하였다. 동영상 시청 이후 모든 참여자들에게 성역할 정체성 검사결과 평균 이상으로 여성성이 높다는 피드백을 하여 남성다움 위협을 경험하도록 조작하였다. 위협 경험 이후 사후검사를 실시하여 사전 사후 집단간 상호작용을 검증하기 위해 반복측정 분산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부적정서인 분노와 관련하여 남성다움을 자극받은 집단은 성역할 중립 집단에 비해 사전 사후 검사결과 간의 변화량이 더 크게 나타났다. 상태자존감은 남성다움을 자극받은 집단에서 사전 사후 검사 간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남성다움 자극 집단은 남성다움 위협과 상호작용하여 분노 정서를 상승시키고 방어반응으로써 상태자존감을 상승시키는 중재효과를 지닌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불안정한 남성다움 속성을 고려한 연구 활성화의 기초가 되며, 남성 성역할 상담 및 교육장면에서 효과적인 개입을 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This study tried to investigate the moderating effect of manhood stimulation on the effects of manhood threat on negative emotions and status self-esteem in male university students. 62 male university students who voluntarily participated through online research institutes were pre-examined(gender role identity scale, multiple affect adjective check list, state self-esteem scale), and then randomly assigned to one of the two groups divided into a shortened version of the movie 300(manhood stimulation group) or a video of the birth of the earth(gender neutral group). After watching the video, all participants were manipulated to experience the threat of manhood by providing feedback that femininity was higher than average as a result of the pre-test for gender role identity. After the threat experience, a post-test was conducted to verify the interaction between pre-post groups, and repeated measurement variance analysis was perform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Regarding the negative emotion of anger, the group that was stimulated with manhood showed a greater amount of change between pre-post test results than the gender neutral group. In terms of state self-esteem, the difference between pre-post test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group stimulated with manhood. The manhood stimulation group was found to have a moderating effect of interacting with manhood threats to increase anger emotions and to increase state self-esteem as a defensive response.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will serve as the basis for revitalizing research considering precarious manhood properties and will help in effective intervention in male gender role counseling and education.

I.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제언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