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대학생의 학습공동제 활동에서 협력적 자기조절, 의사소통능력, 인지된 성취도 간의 구조적 관계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Collaborative Self—regulation, Communication Skills, and Perceived Achievement in University Students' Learning Community Activities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학습공동체 활동에서 협력적 자기조절, 의사소통능력, 인지된 성취도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협력적 자기조절이 의사소통능력을 매개로 인지된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D광역시 소재 K대학교의 2023 학년도 1학기 학습공동체 프로그랩에 참여한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 중 324명의 웅답 자료를 최종적으로 검토하였으며, 의사소통능력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구조방정식모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협력적 자기조절, 의사소통능릭, 인지된 성취도의 각 변인은 상관관계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협력적 자기조절과 의사소통 능력은 인지된 성취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협력적 자기조절과 인지된 성취도의 관계에서 의사소통능력이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높은 수준의 협력적 자기조절과 효과적인 의사소통능력을 갖춘 학습자는 팀원 간의 관계를 개선하고 원활한 소통을 유도하며, 결과적으로 인지된 성취도가 향상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학습자의 협력적 자기조절 능력을 키우는 동시에 팀원들 간의 의사소통을 강화하기 위한 다양한 전략을 제공하는 것이 학습공동체 활동의 효과를 높이는 주요한 전략임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cooperative self-regulation, communication skills, and perceived achievement in university students' learning community activities, and to explore the effect of cooperative self-regulation on perceived achievement mecliated by communication skills.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on university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learning community program during the first semester of 2023 at K University. Out of the collected data, responses from 324 participants were analyzed, utiliz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o assess the mediating effect of communication skill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ll variables mutually influenced each other. Second, both collaborative self—regulation and communication skills significantly affected perceived achievement. Third, communication skills were found to be a partial mediat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aborative self -regulation and perceived achievement. In other words, learners with a high level of collaborative self—regulation and effective communication skills tend to improve team dynamics, facilitate smooth communication within their teams, and consequently, elevate their perceived achievement. These results suggest that implementing various strategies to enhance learners ' collaborative self—regulation and promote communication among team members is a key approach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learning community activities.

I . 서론

II.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V. 결론 및 논의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