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표지 업로드.png
KCI등재 학술저널

감정일기를 통해 살펴본 예비 유아 교사들의 교육 실습 경험 탐색

Exploring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Emotions during Student Teaching through Their Emotion Log

본 연구는 예비 유아 교사들이 교육 실습 기간 동안 기록한 감정 일기를 통하여 교육 실습 경험을 탐색하였다. G도 소재의 4년제 대학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인 50명의 예비 유아 교사들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교육 실습 기간 동안 기록한 감정 일기를 바탕으로 예비 유아 교사들의 감정을 시각화하기 위해 Word Cloud를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교육 실습 첫 주에는 걱정, 기쁨, 만족, 보람의 정서가 두드러졌으며, 둘째 주에는 걱정이 더욱 두드러지고 평온, 존경 등의 정서도 빈번히 보고되었다. 셋째 주에는 혼란스러움, 두려움, 불안의 정서가 빈번하였고, 마지막 주에는 기쁨, 걱정, 만족, 평온의 정서를 자주 보고하였다. 예비 유아 교사들의 교육 실습 경험의 의미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질적 연구 방법인 내러티브 탐구방법을 기반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예비 유아 교사들은 교육 실습을 통해 막연한 걱정과 두려움, 신체적 피로감,적응과 함께 찾아온 소속감, 수업 실행과 한계의 발견, 성장에 대한 기대감 등을 경험했다. 본 연구는 유아 중심‧놀이 중심으로의 교육과정 개정 이후, 예비 유아 교사들이 현장 실습을 통해 느낀 정서와 매일의 실습 경험을 담은 기록을 통해 교사 양성 기관이 예비 유아 교사의 현장 실습 경험을 잘 이해하고 지원하기 위한 기초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The current study explored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emotions and experiences during student teaching through their daily emotion logs. Fifty students who enrolled in student teaching courses at one 4-year university in a G-province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roughout 19 days in their student teaching, 815 emotion logs were collected. Word Cloud was utilized to visualize the tendency of pre-service teachers’ emotions during student teaching. As a result, emotions of worries, happiness, satisfaction, and sense of accomplishment were prominent in the first week, emotions such as tranquility and respect were appeared in the second week, emotions of confusion, fear, and anxiety were reported frequently in the third week, and emotions of happiness, worries, satisfaction, and tranquility were reported often in the last week. Also, to examine the meaning of student teaching for pre-service teachers, emotion logs were analyzed. Emerging themes include vague worries and fear, tiredness and fatigue, sense of belonging, lack of capability after the first teaching, and sense of expectancy. The findings of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eacher preparation programs to better understand and better support pre-service teachers’ student teaching experiences.

1. 서 론

2. 연구방법

3. 연구결과

4. 논의 및 제언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