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낙동강수계 지류에서의 장기 수질모니터링 자료를 이용하여 수질의 목표수질 초과율, 증가 추세를 검토하여 지류에서 문제 되는 물질이 무엇인지 파악하는 것이 목적이다. 낙동강수계에서는 중점 관리가 필요한 38개 지류에 대하여 월 1회 모니터링이 수행되고 있으며 이 자료를 이용하여 지점별 목표수질 초과 및 증가 경향을 분석하였다. 분석 항목은 하천 수질 기준으로 평가가 가능한 DO, BOD, COD, TOC, SS, 총인, 분원성 대장균군, 총대장균군 8개 항목이다. 분석 결과, 목표수질 초과율이 50% 이상이며 증가추세인 항목은 TOC, 분원성 대장균과 총대장균수로 나타났으며 초과율이 50% 이하이나 증가 경향을 가진 항목은 SS로 나타났다. TOC는 난분해성 물질의 증가로 인한 원인으로 판단되며 대장균의 지속적인 증가는 향후 하수처리시설에서의 방류수질 중 대장균의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se long-term water quality monitoring data from tributaries of the Nakdong River system to identify problematic substances in tributaries by examining the rate of exceedance and increase in water quality targets. In the Nakdong River system, monitoring is conducted once a month for 38 tributaries that require intensive management, and this data was used to analyze trends in exceeding and increasing target water quality at each point. The analysis items are eight items that can be evaluated based on river water quality standards: DO, BOD, COD, TOC, SS, total phosphorus, fecal coliform, and total coliform.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target water quality exceedance rate was more than 50%, and the items with an increasing trend were TOC, fecal coliform and total E. coli counts, and the items with an exceedance rate of less than 50% but an increasing trend were SS. TOC is believed to be caused by an increase in non-degradable substances, and the continued increase in Total Coliform will require management of Total ColiformTotal Coliform in effluent water from sewage treatment facilities in the future.
1. 서 론
2. 연구방법
3. 연구결과
4.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