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UCN 생태계 적색목록은 생물다양성의 감소 위험이 높은 생태계를 평가하고 식별하기 위한 글로벌 표준으로, 효과적인 생태계 관리 및 보전 정책 수립에 필요한 과학적 근거를 제공한다. IUCN 생태계 적색목록은 쿤밍-몬트리올 글로벌 생물다양성 프레임워크 목표 A의 핵심지표(A.1)로 지정하였다. 생태계 적색목록 평가는 특정 생태계 유형을 분포의 감소(기준 A), 제한된 분포(기준 B), 환경 황폐화(기준 C), 생물학적 상호작용의 변화(기준 D), 생태계 붕괴 위험의 정량적 추정(기준 E)으로 생태계 붕괴 징후를 판별한다. IUCN 생태계 적색목록은 2014년부터 110개 이상의 국가에서 평가를 진행하였다. 80% 이상이 육상 및 육상-담수 생태계에서 평가를 진행하였으며, 이중 열대림과 아열대림에 위협 받는 생태계가 집중 분포하고 있다. 평가 기준은 공간적 징후(기준 A 및 B)에서 68.8%로 집중되어 있다. 국내에서 생태계 적색목록을 평가를 적용하기 위한 고려사항은 크게 세가지로 나뉜다. 첫째, 국내 적용가 능한 지구 생태계 유형(GET)을 적립해야 한다. 둘째, 생태계 적색목록 범주기〮준 중 공간적 징후 평가에서 국내의소규모로 이루어진 다양한 생태계 유형에 적용 가능한지를 판단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평가를 위한 활용 가능한 시계열(50년) 데이터 수집을 고려해야 한다. 이러한 고려사항을 바탕으로 국내에 IUCN 생태계 적색목록 평가를 적용하면, 우리나라의 독특한 생태계 유형의 현재 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을 것이며, 이는 세계적인 생태계 보전 및 복원 노력에 기여할 것이다.
The IUCN Red List of Ecosystems serves as a global standard for assessing and identifying ecosystems at high risk of biodiversity loss, providing scientific evidence necessary for effective ecosystem management and conservation policy formulation. The IUCN Red List of Ecosystems has been designated as a key indicator (A.1) for Goal A of the Kunming-Montreal Global Biodiversity Framework. The assessment of the Red List of Ecosystems discerns signs of ecosystem collapse through specific criteria: reduction in distribution (Criterion A), restricted distribution (Criterion B), environmental degradation (Criterion C), changes in biological interaction (Criterion D), and quantitative estimation of the risk of ecosystem collapse (Criterion E). Since 2014, the IUCN Red List of Ecosystems has been evaluated in over 110 countries, with more than 80% of the assessments conducted in terrestrial and inland water ecosystems, among which tropical and subtropical forests are distributed ecosystems under threat. The assessment criteria are concentrated on spatial signs (Criteria A and B), accounting for 68.8%. There are three main considerations for applying the Red List of Ecosystems assessment domestically: First, it is necessary to compile applicable terrestrial ecosystem types within the country. Second, it must be determined whether the spatial sign assessment among the Red List of Ecosystems categories can be applied to the various small-scale ecosystems found domestically. Lastly, the collection of usable time series data (50 years) for assessment must be considered. Based on these considerations, applying the IUCN Red List of Ecosystems assessment domestically would enable an accurate understanding of the current state of the country's unique ecosystem types, contributing to global efforts in ecosystem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1. 서 론
2. 생태계 적색목록 평가 방법
3. 생태계 적색목록 연구동향
4. RLE 평가 국내 적용을 위한 고려사항
5.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