젤트너는 듀이의 미적 경험에 대한 이해를 크게 증진 시킨 존 듀이 미학자이다. 그는 듀이의 미학을 자연주의적 형이상학을 대변한다고 주장하며, 듀이에게서 유기체 인간과 음악은 ‘자연의(of)’, ‘자연의 안(in)에서’, ‘자연에 의해(by)’ 그 존재가 가능하다고 귀결한다. 이 관점에서 음악은 자연의 오묘한 것들, 즉 자연의 형이상학적인 것들을 내포하는 것으로 정의된다. 미적 경험은 듀이 미학의 핵심 개념으로서 일상과 예술과의 연속성 회복의 매개체이다. 듀이는 일상의 미적 경험을 ‘하나의 경험’으로 소개한다. 젤트너는 이 하나의 경험은 ‘수렴적 완성으로서의’ 미적 경험이며, 일상의 모든 경험은 미적 상황인 미적인 구조화와 성질을 갖추게 되면 하나의 경험이 됨과 동시에 미적 경험이 된다고 주장한다. 젤트너는 듀이의 미적 경험의 이해를 위해서 하나의 경험을 일차적 미적 경험의 단계와 예술 경험을 의도되고 다듬어진 미적 경험의 단계로 구분할 것을 제안한다. 하지만, 이 두 단계는 결코 분리될 수 없는 연속성을 띤다.
P. M. Zeltner was a John Dewey aesthetician who greatly enhanced his understanding of Dewey's aesthetic experience. He argues that Dewey's aesthetics represent naturalistic metaphysics, and in Dewey, organic humans and music result in the existence of ‘of nature’, ‘in nature’, and ‘by nature’. From this point of view, music is defined as containing the mysterious things of nature, that is, the metaphysical things of nature. Aesthetic experience is a key concept of Dewey aesthetics and a medium for restoring continuity between daily life and art. Dewey introduces everyday aesthetic experiences as ‘an experience’. Zeltner argues that this an experience is an aesthetic experience “as a convergent completion,” and that all experiences in everyday life become an aesthetic experience as well as an experience when they have aesthetic structures and properties. Zeltner suggests dividing ‘an experience’ into a primary phase of aesthetic experience and an intentionally cultivated phase of aesthetic experience for understanding Dewey’s aesthetic experience. However, these two phases have a continuity that can never be separated.
Ⅰ. 들어가는 말
Ⅱ. 듀이의 미학
Ⅲ. 젤트너의 존 듀이 미적 경험의 이해
Ⅳ.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