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표지.png
SCOPUS 학술저널

탈(脫)플라스틱 시대를 향한 음악교과 플라스틱 악기 사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Use of Plastic Instruments in Music Curriculum towards the Plastic-Free Era

DOI : 10.30775/KMES.52.4.137
  • 32

본 연구는 환경오염의 주범으로 꼽히는 플라스틱 생산 감축 방안과 맞물려 음악교과에서 사용하는 플라스틱 재질의 악기를 찾아 분석하고 대안을 제안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1차부터 2015개정 교육과정까지 출판된 72권의 음악교과서에 수록되어 사용되고 있는 플라스틱 재질의 악기를 정리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로는 첫째, 2차 교육과정(1963-1973)이 적용된 음악교과서에 플라스틱 재질의 리코더와 멜로디카(멜로디언)가 처음으로 사용되었다. 둘째, 플라스틱 재질의 악기는 리코더, 멜로디언, 탬버린, 소고, 에그쉐이커, 붐웨커 등이 음악교과서에 수록되었다. 마지막으로, 검인정 음악교과서 이후에 플라스틱 재질의 악기가 조금 더 증가된 양상을 보였다. 지속가능발전의 환경영역에서 기후⋅생태 지속가능성을 위해 음악교과는 플라스틱 재질의 악기 사용을 줄이고, 친환경 소재 및 나무재질의 악기로 변경하여 제공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plastic instruments used in music curriculum and provide alternative instruments, which are the cause of environmental pollution. For this purpose, the plastic instruments used in 72 music textbooks published from the 1st to the 2015 revised curriculum were organized and analyzed. As a result of this study, first, plastic recorder and melodica(melodion) were used for the first time in music textbooks applied to the 2nd curriculum(1963-1973). Second, plastic instruments such as recorder, melodion, tambourine, sogo drum, egg shakers, and boomwhackers were found in music textbooks. Lastly, the number of musical instruments made of plastic has increased slightly in authorized music textbooks. For ecological sustainability, it is necessary to reduce the use of plastic instruments in music textbooks and provide instruments made of eco-friendly materials and wood.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음악교과서 악기 현황

Ⅳ. 결론 및 제언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