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ECD Education 2030에 기반한 2022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의 역량 반영도 분석
Analysis of Competencies Reflection in the 2022 Revised Music Curriculum based on OECD Education 2030
- 한국음악교육학회
- 음악교육연구
- 음악교육연구 제52권 제4호
-
2023.11155 - 174 (20 pages)
- 321

본 연구는 OECD Education 2030에서 제시한 28가지 역량이 2022 개정 음악과 중학교 교육과정 문서에 반영된 정도를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결과 첫째, 높은 반영도를 보인 역량은 14가지로, ‘문식성, ICT/디지털 리터러시, 협동/협력, 비판적 사고, 문제해결력, 자기관리/자기통제, 공감, 존중, 학습에 대한 학습, 학생 주도성, 협력적 주도성, 예측, 실행, 반성’이 해당하였다. 둘째, 낮은 반영도를 보인 역량은 7가지로, ‘수리력, 데이터 리터러시, 끈기/회복력, 신뢰, 컴퓨팅 사고/프로그래밍/코딩, 금융 소양, 기업가 정신’이 해당하였다. 결론적으로, 첫째, 2022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은 OECD 역량이 전반적으로 높게 반영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음악 교과는 여러 가지 역량을 기르기에 적합한 교과임을 확인하였다. 셋째, 음악과 교육과정 문서 내 OECD 역량의 반영 조절에 대한 인식 전환을 제안하는 등의 논의와 음악과에 맞는 역량 관련 이해도 제고 방안 등의 후속 연구를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egree to which the 28 competencies presented by ‘OECD Education 2030’ are reflected in the 2022 revised Music Middle School Curriculum document. The study found that 14 competencies were highly reflected: Literacy, ICT/Digital literacy, Cooperation/Collaboration, Critical thinking, Problem solving, Self—regulation/Self-control, Empathy, Respect, Learning to learn, Student Agency, Co-Agency, Anticipation, Action, and Reflection. Second, there were 7 competencies that were less reflective: Numeracy, Data literacy, Persistence/Resilience, Trust, Computational thinking/Programming/Coding, Financial literacy, and Entrepreneurship. In conclusion, the study found that the 2022 revised Music Curriculum has a fairly high overall alignment with the OECD competencies. Second, the study confirmed that ’music’ is an appropriate subject for the development of a number of competencies. Third, the study suggested a change in perception on the reflection and adjustment of OECD competencies in Music Curriculum document, and further research on how to improve the understanding of competencies related to Music Education.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의 실제와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