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표지.png
SCOPUS 학술저널

Enriching Musical Understanding through Kodály-Inspired Drawing Activities: An Action Research Study

음악적 이해의 폭넓은 확장을 위한 코다이 교수법과 상징적 표현 활동의 적용

  • 73

The purpose of this action research study was to delineate the potential pedagogical integration of drawing activities with Kodály approaches in general music instruction. Nine participants voluntarily engaged in this study. They learned three children’s folk songs within the Kodály framework (i.e., preparation, presentation, practice, and assessment). Drawing activities were added before and after the Kodály instruction to check how the participants’ musical understandings have changed. The results highlighted the utilization of graphical codes and metaphors, the influence of non-English lyrics on personal imagination, the role of class discussions in cooperative learning, alternative visualization as non-standardized stick notations, and playful moments as musical memory aids. These findings hold implications for teaching practices in the context of elementary music classrooms,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student-centered learning and the use of drawings and class discussions as a means of assessing students’ musical understanding throughout the learning process.

본 실행연구의 목적은 초등 음악 교육에서 상징적 표현 활동과 코다이 교수법을 교육적으로 통합할 수 있는 가능성을 탐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코다이 교수법(준비, 제시, 연습, 평가)을 기반으로 세 곡의 세계 전래동요를 9명의 참여자들에게 지도했다. 교수법 적용 전후의 악곡에 대한 음악적 이해의 변화는 상징적 표현 활동의 결과물과 학급 토론을 통해 수집된 질적자료를 분석하여 도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코다이 교수법 학습 이전의 상징적 표현 활동에서는 참여자들이 모국어가 아닌 가사를 다양한 그래픽 코드와 은유적 상징을 사용하여 시각적으로 표현하였다. 둘째, 상징적 표현 활동 이후에 참여자들은 학급 토론활동에 참여하여 동료참여자의 시각적 표현이 어떤 악곡을 듣고 창작되었는지에 대해 심미적 느낌을 바탕으로 추론하였다. 셋째, 코다이 교수법 시행 이후 참여자들은 음악적 요소를 기보법의 형태로 그리거나, 수업 시간에 학습했던 전래 동요와 관련된 놀이를 음악적 기억의 일부로 묘사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코다이 교수법을 적용해 악곡을 지도할 때 상징적 표현 활동과 학급 토론의 활용을 활용한다면 단순한 음악적 개념의 학습을 넘어 개인이 악곡에 다양한 의미를 부여하는 적극적 학습을 이끌 수 있음을 시사한다.

Ⅰ. Introduction

Ⅱ. Literature review

Ⅲ. Method

Ⅳ. Results

V. Reflections and Implications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