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지식의 깊이(DOK)를 중심으로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중학교 성취기준과 수행평가 문항의 인지적 복잡성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둘 사이의 정합성을 판정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하였다. 정합성 분석의 대상으로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중학교 성취기준 46개와 교사가 직접 개발하고 사용한 수행평가 문항 132문항을 유의표집하여 선정하였다.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분석 도구인 지식의 깊이(DOK)를 우리나라 중학교 국어과 교육과정에 맞게 수정‧보완하였다. 이후 정합성 분석위원회가 성취기준과 수행평가 문항의 DOK 수준을 확정하였으며,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성취기준과 수행평가 문항의 정합성을 판정하였다. 지식의 깊이(DOK)를 중심으로 성취기준과 수행평가 문항의 정합성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식의 깊이(DOK)에 따른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중학교 성취기준과 수행평가 문항은 정합하였다. 성취기준의 DOK 수준과 같거나 높았던 수행평가 문항이 전체의 68.9%에 해당하였으며 정합성의 정도는 보통 수준으로 판정하였다. 영역별로 읽기와 쓰기는 정합성이 높은 수준이었으며, 문학과 듣기‧말하기는 보통 수준이었다. 문법의 경우, 정합성이 50% 이하로 성취기준과 수행평가 문항이 정합하지 않았다. 둘째, 정합성 분석위원들과의 반구조화된 면담을 통해 성취기준과 수행평가 문항 간 정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각각 교사 요인과 교사 이외 요인으로 도출하였다. 교사 요인으로는 성취기준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교사의 교육과정 결정권, 평가의 편의성 추구 등이 있었으며, 교사 이외 요인으로 학습자의 학업 성취 수준과 관습화된 상대평가 중심의 평가 문화 등이 있었다. 본 연구는 성취기준과 수행평가 문항의 정합성 분석을 통해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이 학교 현장에서 효과적으로 구현되고 있는 하나의 사례가 되었다는 점, 중등학교의 평가 실태를 통해 평가 문항의 질이나 교사의 평가 전문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는 점, 수행평가가 역량 중심 평가에 적합한 평가 방식임을 알 수 있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 연구를 바탕으로 지식의 깊이(DOK)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이고 체계적으로 진행되어 학교 현장에서 DOK를 바탕으로 질 높은 교육과정을 실행할 수 있게 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alignment of the 2015 revised Korean language curriculum middle school achievement standards and the performance assessment based on Depth of Knowledge(DOK) by analyzing the cognitive complexity of the two. The subjects of the alignment analysis that were selected by purposive sampling are the 46 middle school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2015 revised Korean language curriculum and 132 performance assessment items that were designed and utilized by teachers. Based on prior studies, the analysis tool, Depth of Knowledge(DOK), was modified according to the national middle school Korean curriculum. Then, a committee for analyzing alignment finalized the achievement standards and the DOK levels of the performance assessment items via discussion. Based on the analysis result, the alignment of the achievement standards and the performance assessment items was determined. For this, Spearman's rank correlation coefficient was used to obtain inter-rater reliability. The alignment analysis result of the achievement standards and the performance assessment items based on Depth of Knowledge(DOK) is as follows. First, the middle school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2015 revised Korean language curriculum and the performance assessment items based on Depth of Knowledge(DOK) were in alignment. Performance assessment items that equal to or greater than DOK levels of achievement standards was 68.9% of the total and the alignment level was determined to be normal. In Korean language sections, the alignment levels were high for reading and writing and they were normal for literature, listening, and speaking. For grammar, the alignment level was below 50%which showed that the achievement standards and the performance assessment items were not in alignment. Second, through semi-structured interviews with the alignment analysis committee members, teacher factors and non-teacher factors were derived from the factors that affected the alignment between the achievement standards and the performance assessment items. For the teacher factors, there were teachers' perception, teachers' right to determine the curriculum, and the pursuit of convenient assessment. For the non-teacher factors, there were learners' academic achievement level and the conventionalized Korean culture that focuses on norm-referenced assessment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has become a case which shows the 2015 revised Korean language curriculum is being effectively realized in schools through the alignment analysis of the achievement standards and the performance assessment items. Also, it allows us to check the quality of the assessment items and the assessment expertise of teachers through the assessment situations in secondary schools. Moreover, it demonstrates that performance assessment as competency based assessment is an appropriate method. One hopes that with this study, the research for Depth of Knowledge(DOK) is conducted continuously and systematically so that through DOK, a high quality curriculum can be implemented in schools.
Ⅰ. 서론
II.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