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역 기반 플랫폼노동 종사자의 잠재계층 유형과 관련 특성
Latent Class of Socioeconomic and Demographic Factors among Local-Based Platform Workers and Related Characteristics
-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
- 한국사회복지교육
- 제64집
- 2023.12
- 83 - 110 (28 pages)
본 연구의 목적은 인구․사회․경제적 특성에 따른 지역 기반 플랫폼노동 종사자의 잠재계층 유형을 확인하고 유형별 일 관련 특성과 심리·사회적 특성을 살펴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소지원사업의 일환으로 연세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에서 수행한『플랫폼 노동자 생활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최종 분석에는 전국의 지역 기반 플랫폼노동 종사자 687명(대리운전 기사 151명, 퀵서비스 기사 152명, 배달서비스 기사 152명, 승객 운송기사 132명, 가사 노동자 100명)의 자료가 사용되었다. 분석 방법은 플랫폼노동 종사자의 유형을 확인하기 위해 잠재계층분석을 진행하였으며, 유형별 관련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카이제곱 검정과 일원분산분석을 활용하였다. 잠재계층분석 결과, ‘청년·남성·주업형’, ‘고학력·중년여성·부업형’, ‘저학력·중년남성·주업형’, ‘고학력·중년남성·고소득형’ 4개의 잠재계층으로 나타났으며, 유형들 사이에는 일 관련 특성과 심리사회적 특성의 차이를 보였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플랫폼노동 종사자의 유형별로 정책 및 실천적 함의를 논의하였고 사회복지교육 분야에서 이들에 대한 더 나은 이해와 개입을 위한 교과 내용 검토를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types of latent classes among regional-based platform workers according to demographic, social, and economic characteristics, and to examine the job-related and psychosocial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For this research, data from a survey on the living conditions of platform workers were used. The final analysis included data from 687 platform workers across the nation, including 151 designated drivers, 152 courier service drivers, 152 delivery service drivers, 132 passenger transport drivers, and 100 domestic workers. The analysis method involved conducting latent class analysis to identify the types of platform workers and using cross-analysis and one-way ANOVA to understand the factors associated with each type. As a result of the latent class analysis, four latent classes were identified: ‘Young male primary workers’, ‘Highly educated middle-aged female secondary workers’, ‘Low-educated middle-aged male primary workers’, and ‘Highly educated middle-aged male high-income workers’.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job-related and psychosocial characteristics among these type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the study discussed policy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each type of platform worker and proposed reviewing course content in the field of social welfare education for a better understanding and intervention for these workers.
Ⅰ. 서론
Ⅱ. 문헌 고찰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제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