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표지.png
KCI등재 학술저널

경도인지장애 노인 대상 음악치료의 효과 유지를 위한 알고리즘 연구: 예비 연구

A Pilot Study on Algorithm for Maintaining Treatment Effect in Music Therapy for Older People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 180

노인인구 증가는 치매를 비롯한 각종 노인성 질환을 앓는 환자의 급증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인지 기능 향상이나 저하 방지를 위해 개발된 신경학적 음악치료 프로그램의 효과 및 그 프로그램 알고리즘을 살펴보기 위한 예비 연구였다. 이를 위해 경도인지장애 상태의 노인 19명을 대상으로 그 일부는 1회기 그리고 다른 일부는 8회기 프로그램에 참여시켰다. 프로그램 참여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참여자들에게 한국판 간이정신상태검사(K-MMSE)를 프로그램 참여 직전, 종료 후 30분 지점, 종료 후 1주일, 그리고 종료 후 2주일이 지난 시점에서 네 차례 시행하였다. 단 1회기만 참여했던 자들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K-MMSE 점수는 프로그램 시행 직전에 비해 프로그램 종료 직후에만 유의미하게 상승했다. 이에 비해 8회기 프로그램에 참여한 집단에서는 K-MMSE 점수가 프로그램 시행 직전에 비해 프로그램 종료 직후 그리고 종료 후 1주일까지 유의미하게 상승이 유지되었으나, 프로그램 종료 후 2주일에서는 프로그램 시행 직전 수준으로 돌아갔다. 이와 같은 결과는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인지능력 향상을 위해 개발했던 본 프로그램의 효과가 비교적 짧은 기간(즉, 1주일)만 유지되었음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그와 같은 결과가 종속 측정치의 적합성 문제에 기인할 수 있었음을 논하였으며, 이러한 문제점 보완과 함께 프로그램 회기와 같은 알고리즘을 살피는 후속 연구를 제안했다.

The increase in the old population means a rapid increase in the number of patients suffering from various geriatric diseases, including dementia. This study was a pilot study to examine the effects of a neurological music therapy program developed to improve or prevent cognitive function decline and an algorithm of the program. For this purpose, 19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were recruited, some of whom participated in a one-session program while the others in an eight-session program. To measure the effect of program participation, the Korean version of the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K-MMSE) was administered to participants four times: immediately before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30 minutes after completion of program participation, one week after the completion, and two weeks after the completio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ata of those who participated in only one-session, it was found that K-MMSE scores significantly increased only immediately after the end of the program compared to immediately before the program was implemented. However, in the group that participated in the eight-session program, it was found that the K-MMSE score maintained a significant increase immediately after the end of the program and one week after the end of the program compared to just before the program was implemented, but returned to the level just before the program was implemented at two weeks after the end of the program. The findings showed that the effects of this program, which was developed to improve the cognitive abilities of older people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were maintained for only a relatively short period of one week. However, it was discussed that the findings might have been due to problems with the suitability of dependent measures, and thus follow-up studies were proposed to make up the problems and look at algorithms such as program sessions.

Ⅰ. 서론

Ⅱ. 방법

Ⅲ. 결과

Ⅳ. 논의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