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표지.png
KCI등재 학술저널

산재노동자 재활과정에서의 사회복귀 영향 요인

본 연구는 산재노동자 중에 직업복귀 여부나 시기가 다른 집단들 간에 사회복귀 영향 요인의 영향정도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고 직업복귀나 미복귀를 예측할 수 있는 변인이 있는지 탐색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산재보험패널조사 2차 코호트 1차 및 5차에 모두 응답하면서, 그 사이에 1회 이상 응답이 있는 2,720개의 자료를 활용하였다. 예측 변인들을 선정하여 직업복귀 뿐 아니라 직업에 복귀하지 못하였으나 일상이나 사회로는 복귀한 경우를 포함하는 경제활동 이력에 따른 4개 집단에 대해 판별분석을 실시하고 집단 예측률을 살펴보았다. 판별분석 결과 미취업이거나 비경제활동 집단보다는 취업상태인 집단의 예측률이 높게 나타났으며, 건강상태와 업무수행능력과 같은 직업복귀에 직접적 영향을 주는 신체적 요인과 긍정 심리자본인 자아효능감과 자아존중감이 사회복귀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인임을 밝혔다. 사회복귀정도가 높아질수록 긍정적인 특성들이 나타남을 확인하고, 연령대별 판별분석 수행 결과, 30대 이하는 사회적 친분관계, 50대는 재활 및 직업재활 서비스 이용 여부, 60대 이상에서는 산재로 인한 초기 통증과 요양기간이 다른 연령대에 비해 강한 예측력을 보였다.

This study analyzed data from the second cohort of 2,720 participants in the Panel Study of Worker’s Compensation Insurance(PSWCI). Predictive variables were selected to conduct, discriminant analysis on four groups categorized by their history of economic activity, and the group prediction rate was examined. The analysis revealed that the prediction rate of the employed group was higher than that of the unemployed or inactive groups. Physical factors such as health status, work performance capability,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self-efficacy, and self-esteem, were significant variables influencing the likelihood of social return. Individuals with a higher degree of social rehabilitation exhibit more positive characteristics. Age-specific discriminant analyses revealed distinct predictors for different age groups: social relationships were more predictive for individuals 30 years old or younger, while rehabilitation and vocational services were for those in their 50s, and the initial impact of industrial accidents and the subsequent recovery period were significant for those in their 60s or older.

방 법

결 과

논 의

참 고 문 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