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표지.png
KCI등재 학술저널

제주도 사계 해안사구식생의 군락분류를 통한 생태교육자료 개발

Development of ecological learning data through community classification of coastal dune vegetation in the Sagye area of Jeju Island

이 연구는 우리나라 최남단의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사계 해안사구에 분포하는 식생 유형을 통한 군락을 분류하고, 관련 교육자료를 개발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현장 식생 조사는 식물사회학적 종 조성과 서식처의 균질성을 강조하는 Z.-M. 방법으로 2020년 4월부터 2021년 10월까지 약 2년간 조사하였다. 조사를 통해 190개의 식생 자료가 획득되었고, 출현 식물 총 141 분류군의 행동양식을 9계급의 변환 통합우점도와 상대 기여도를 통해 분석하였다. 식생 유형은 해안사구 초본 식생, 해안사구 관목 식생, 인공조림 식생으로 크게 3개의 상관 식생형으로 분류되었다. 군락분류 결과, 19개 단위 식생으로 구분되어 총 6개의 군집과 13개의 군락이 구분되었다. 대표 군락은 해안사구 관목 식생인 순비기나무-갯쇠보리군집과 인공조림 식생의 교목 식생인 곰솔군락으로 나타났다. 식생 자연도 평가에서는 [Ⅱ]등급이 7개 군락으로 전체 군락의 36.8%, [Ⅲ]등급이 9개 군락으로 전체 군락의 47.4%로 높게 나타났다. 식생 자연도 [Ⅱ]등급 지역은 생태학적 보전 활동에 대해 선택적으로 엄격히 요구되는 식생으로 규정하고 있어 보전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본 연구자료는 현존식생의 군락분류와 군락체계를 구축하여 생태기반 식생 자료를 제공함으로써 교사들이 현장생태교육 자료뿐만 아니라 생태학습 교육자료를 개발하는 데 널리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lassify communities based on vegetation types distributed in Sagye coastal sand dunes in Seogwipo city,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the southernmost part of Korea, and to develop related educational materials. The field vegetation survey was conducted for approximately 2 years, from April 2020 to October 2021 with the Z.-M method emphasizing plant sociological species composition and habitat homogeneity. Through the survey, we obtained 190 vegetation data and analyzed the behavioral patterns of a total of 141 plant taxa using 9 levels of converted integrated dominance and relative contribution (r-NCD). Vegetation types were broadly classified into three correlated categories: herb communities on dunes, shrub communities on dunes, and artificial afforestation vegetation. As a result of community classification, 19 units of vegetation were identified, comprising a total of 6 associations and 13 communities. The representative communities were the Vitex rotundifolia community, which is coastal dune shrub vegetation, and the Pinus thunbergii community, which is arboreal vegetation. In the evaluation of vegetation naturalness, the [Ⅱ] grade was high with 7 communities, accounting for 36.8% of the total community, and the [Ⅲ] grade was 9 communities, accounting for 47.46% of the total community. Vegetation naturalness grade [Ⅱ] areas are defined as vegetation that is selectively and strictly required for ecological conservation activities, so conservation measures for this vegetation are considered necessary. This research data is expected to be widely used by teachers in developing field ecological education materials, as well as ecological learning education materials, by providing ecological-based vegetation data by establishing a community classification and community system for existing vegetation.

Ⅰ. 서론

Ⅱ. 연구 조사지 및 방법

Ⅲ.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