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표지.png
KCI등재 학술저널

정서 자극에 대한 주의 몰입 및 철회와 우울의 관계: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매개효과

Attentional Engagement and Disengagement to Emotional Stimuli in Depression: Mediating Effect of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본 연구는 정서 자극에 대한 주의 편향이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을 매개로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대학(원)생 94명을 대상으로 주의 판단 과제 및 우울과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을 측정하는 자기보고식 검사를 실시하였다. 주의 편향을 확인하기 위해 사용된 주의 판단 과제는 정서 자극에 대한 주의가 이동하는 것을 측정하는 것으로, 과제 지시에 따라 주의 몰입과 주의 철회로 구분되었다. 각각을 측정하기 위해 주의가 정서 자극으로 이동하는데 걸리는 반응시간과 주의가 정서 자극에서 벗어나는데 걸리는 반응시간을 측정하였다. SPSS Process Macro 4를 이용하여 주의 편향과 우울의 관계에서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긍정 정서에 대한 주의 몰입은 적응적 정서조절전략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우울과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긍정 정서에 대한 주의 몰입이 적응적 정서조절전략을 경유하여 우울에 이르는 경로에서 간접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우울한 사람들에게 긍정 정서에 대한 주의 몰입을 더욱 훈련하고, 적응적 정서조절전략을 사용하도록 한다면, 우울이 낮아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ttentional bias to emotional stimuli on depression through mediation of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A total of 94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attentional assessment task, and completed self-report scales on depression and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Process Macro 4.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positive engagement is significantly positively correlated with adap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and significantly negatively correlated with depression. Second. The indirect effect of attending to positive emotions on the pathway from depression via adap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was negatively significant. Therefore, we suggest that further training depressed individuals in engaging to positive emotions and using adap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may reduce depression.

방 법

결 과

논 의

참 고 문 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