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국내 외국인 유학생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에서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 연구

A study on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cculturative stress and depression among international students in Korea

  • 235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외국인 유학생들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에서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를 파악하는 것이다. 14개 국가에서 온 총 125명의 국내 외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설문결과는 SPSS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연구문제에 따라 기술통계, 다중회귀분석. 그리고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국내 외국인 유학생의 문화적응 스트레스 중 차별인식과 미움거절이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사회적지지의 하위요소 중 가족지지와 친구지지가 우울에 영향을 미쳤으며, 문화적응 스트레스 중 차별인식과 미움거절이 사회적지지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지지를 매개변인으로 설정하고 분석한 결과, 독립변수 중 차별인식과 미움거절이, 매개변수 중 가족지지와 친구지지가 유의미한 결과를 보여주었다. 그리고 2단계에서의 독립변수 효과가 3단계보다 크게 나타나는 것을 볼 때, 우울과 문화적응 스트레스 관계에서 사회적지지는 부분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cculturative stress and depression among international students in Korea. A total of 125 domestic international students from 14 different countries were targeted. The survey results were analyzed using SPSS 20.0 program. As a result of setting social support as a mediating variable and analyzing it, recognition of discrimination and rejection and hate among the independent variables, and family support and support from friends among the mediating variables showed significant results. And given that the effect of the independent variable in step 2 was larger than that in step 3, social support appeared to have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acculturation stress.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