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내면화된 수치심, 고통감내력이 비자살적 자해에 미치는 영향 : 회피-분산 정서조절양식의 조절된 매개효과

The Effects of Internalized Shame and Distress Tolerance on Non-Suicidal Self-injury in Adolesents: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Avoidant-Distractive Emotion Regulation Style

  • 88

이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내면화된 수치심과 고통감내력, 회피-분산 정서조절양식이 비자살적 자해에 미치는 영향을 살피는 것이다. 또한 회피-분산 정서조절양식 선택 빈도가 고통감내력을 통해 비자살적 자해로 향하는 수준을 조절하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이 연구에는 G광역시 6개 중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남녀 청소년 1,086명이 참여하였으며 이 중 비자살적 자해 경험이 있는 415명의 자료를 선별하여 연구에 사용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내면화된 수치심이 고통감내력을 통해 비자살적 자해로 향하는 경로에서 고통감내력의 매개효과와 회피-분산 정서조절 양식의 조절된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내면화된 수치심이 고통감내력을 통해 비자살적 자해로 향하는 경로에서 고통감내력의 부분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고통감내력의 매개효과를 회피-분산 정서조절양식이 조절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회피-분산 정서조절양식의 조절된 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내면화된 수치심이 높은 청소년들이 비자살적 자해를 하지 않도록 예방하기 위해 고통감내력을 높이고 회피적인 정서조절양식을 습관적으로 선택하는 대신 건강한 정서조절양식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 of adolescents' internalized shame, distress tolerance, and avoidant-distractive emotion regulation style on non-suicidal self-injury. This study participated 415 male and female teenagers with non-suicidal self-injury experience attending six middle and high schools in Gwangju. It was found that the mediating effect of distress tolerance was significant in the path of internalized shame toward non-suicidal self-injury. It was found that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s of the avoidant-distractive emotion regulation on the path of non-suicidal self-injury through distress tolerance was significant. These results suggest that in order to prevent adolescents with high internalized shame from engaging in non-suicidal self-harm, it is important to increase their pain tolerance and enable them to have a healthy emotion regulation style instead of habitually choosing an avoidant emotion regulation style.

서 론

방 법

결 과

논 의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