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중학교 1학년부터 고등학교 1학년까지 청소년의 진로성숙도 변화양상과 예측요인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 대구교육종단연구(Daegu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2017: DELS) 중1 패널자료를 잠재성장모형으로 분석하였다(N=1,795).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진로성숙도는 중학교 2학년까지 감소하다가 중학교 3학년부터 증가하는 변화를 보였다. 둘째, 자아존중감, 학업효능감, 학교만족도, 교우관계, 부모-자녀관계는 진로성숙도를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자아존중감과 학업효능감이 높고 학교만족도가 높으며 교우관계와 부모-자녀관계가 긍정적인 청소년은 그렇지 않은 청소년에 비해 진로성숙도가 높은 변화율을 보이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학교환경은 고등학교 1학년에, 행복도는 중학교 1학년부터 고등학교 1학년까지 동시효과를 나타내었다. 넷째, 학교환경과 행복도는 중학교 3학년 시기에 지연효과를 나타냈었다. 즉 중학교 3학년 시기의 청소년이 지각하는 행복도는 당해 년도 뿐만 아니라 다음 해인 고등학교 1학년 시기에도 영향을 미치는 동시·지연효과가 있음을 의미한다. 이는 전환기인 중학교 3학년 시기의 청소년이 지각하는 행복도의 중요성을 엿볼 수 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논의 및 제언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changes in career maturity and identified predictive factors from the first year of middle school to the initial year of high school. In the study, DELS 2017 data(N=1,795) was analyzed using a potential growth model. The findings are as hollows: First, career maturity decreased until the second year of middle school, but then increased from the third year of middle school. Second, self-esteem, academic efficacy, school satisfaction, peer relationships, and parent-child relationships emerged as predictors of career maturity. Third, school environment had a simultaneous effect in the first year of high school, while happiness had a simultaneous effect from the first year of middle school to the first year of high school. Additionally, both school environment and happiness showed a delayed effect in the third year of middle school. It becomes apparent that happiness during the third year of middle school has a tangible and delayed effect.
서 론
방 법
결 과
논 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