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표지.png
KCI등재 학술저널

응급실 임상실습에 참여한 응급구조학과 학생들의 경험에 관한 근거이론 연구

The Experience of Paramedic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Emergency Room Clinical Practice: A Grounded Theory Study

본 연구는 응급구조학과 학생들의 응급실 임상실습 경험은 어떠한가를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G지역의 전문대학에 재학 중인 9명의 학생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여 근거이론방법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자는 반구조화된 질문지를 통해 심층면담을 실시하고 이를 근거이론의 방법에 따라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의 타당성과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 자료를 계속적으로 검토하고 협의하는 과정을 거쳤으며 개방코딩과 축코딩 그리고 이론모형을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14개의 범주, 36개의 하위범주, 128개의 개념들이 도출되었고, 핵심범주는 응급구조사로서의 전문직업관 정립으로 나타났다. 인과적, 맥락적, 중재적 조건들은 응급구조사로서의 전문직업관 정립이라는 중심현상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또한 작용/상호작용에서는 학업에 대한 끊임없는 열망, 직업적성 탐색, 응급실에 적응하기 위한 노력이 나타났으며, 이에 따른 결과로 임상실습의 중요성을 느낌, 사회를 바라보는 창, 성장과 발전, 응급구조사로서의 미래가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응급구조학과 학생의 임상실습 경험을 이해하고 이들에 관한 사회적, 정책적 관심을 높이고자 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고 본다.

This study examines paramedic students' emergency room clinical practice experiences.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er selected nine students at the college in the G area and conducted the study using the grounded theory approach. The researcher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using semi-structured questionnaires and analyzed them us-ing grounded theory. Data analysis performed open coding, axis coding, and refining theo-ry proposed by Strauss and Corbin based on grounded theory. To acquire validity and reli-ability, the researcher categorized concepts through continuous questioning, comparative analysis, identifying essential things in the data, and giving meaning to them. As a result of this study, 14 categories, 36 subcategories, and 128 concepts were derived, and the core category was establishing occupational perspective as a paramedic. Causal context and intervening conditions influenced the central phenomenon of establishing an occupa-tional perspective as a paramedic. In addition, actions/interactions showed an incessant desire for academics, exploration of vocational aptitude, and effort to adapt to the emer-gency room. Consequences appeared as a feeling of the importance of clinical practice, perspective on society, growth and development, and the future of a paramedic. This study is meaningful because it seeks to understand the paramedic students' clinical prac-tice experiences and raise social and policy interests.

I. 서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