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초등학교 1학년 말의 한글해득부진 아동과 일반 아동의 영역별 발달과 유아기에 경험한 가정문해환경을 비교하여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은 초등학교 1학년 한글해득부진 아동(남아 65명, 여아 34명)과 어머니 99쌍과 일반 아동(남아 69명, 여아 71명)과 어머니 140쌍 및 교사 70명이다.공분산분석과 대응표본 t검정을 실시한 결과, 언어발달, 문해발달, 문해활동 선호도(관습적), 인지, 사회성 및 정서 발달에서 한글해득부진 아동이 일반 아동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수준을 보였다. 또한 한글해득부진 아동은 일반 아동보다 유아기에 가정의 발현적 문해지도 측면에서 더 낮은 수준을 경험하였다. 반면, 발현적 문해활동 선호도 및 일부 유아기 가정문해환경(문해상호작용, 그림책 읽기 상호작용, 관습적 문해지도)은 두 집단 간에 차이가 없었다. 본 결과는 취학 전에 취약한 문해환경을 가진 가정을 조기에 지원하고, 초등학교 입학 후 한글해득에 어려움을 보이는 아동의 전인적 발달을 돕는 총체적인 방안 마련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current study compares the developmental levels in different facets under Hangeul acquisition and home literacy environment (HLE) during the preschool period of children in their first grade who had Hangeul acquisition difficulties and those who did not. Study participants included 99 pairs of first graders with Hangeul acquisition difficulties and their mothers, 140 pairs of first graders without such difficulties and their mothers, and 70 teachers. Analysis of covariance and dependent samples t-test showed develop-ment levels in language, literacy, preference for conventional literacy activities, cognition, sociality, and/or emotion were statistically lower in children with Hangeul acquisition difficulties. Additionally, the same children experienced poorer quality HLEs during their preschool period compared to their counterparts, indicating lower levels of emergent liter-acy guidance. However, preference for emergent literacy activities and certain HLEs dur-ing preschool period (literacy interaction, picture book reading interaction, conventional literacy guidance) did not show significant gaps between the two groups.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e need for support for families with poorer HLEs before entering school age, and a comprehensive plan to help the holistic development of children who show difficulties in Hangeul acquisition.
I. 서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