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종교성 상실의 시대, 불교교육에서 영성의 의미

The Meaning of Spirituality in Buddhist Education in an Age of Loss of Religiosity

[연구 목적] 본 논문에서 필자는 현대 한국사회의 특징인 탈종교화를 ‘종교성의 상실’에 기인한 것으로 진단한다. 그리고 불교의 종교성과 영성 개념을 초기불교 관점에서 제시하고, 불교의 영성 교육의 구체적인 방법론을 제안하고자 한다. [연구 내용] 필자는 ‘붓다의 전도선언’과 ‘kusala 개념’을 분석하여 불교의 종교성을 정의하였다. 이 가운데 사회적 차원의 내용을 불교의 종교성 개념으로, 개인적 차원의 내용을 영성 개념으로 각각 구분하여 제안하였다. 이를 통해 불교의 종교성의 근원이 ‘전도선언’에 있음을논증하였다. 그리고 불교의 개념 가운데 바람직한 덕성부터 깨달음에 이르기까지 적용되는kusala개념에서 ‘불교 영성’의 구체적인 의미를 찾았으며, 불교 영성 교육의 구체적인 방법으로 ‘팔정도’가 적합함을 밝혔다. [결론] 불교의 종교성은 붓다가 추구한 불교의 정체성과 관련된 것이다. 그것은 전도선언에 나타난 ‘깨달음의 사회화’이다. 영성은 개인의 삶을 변화시키는 원리로서 ‘깨달음의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즉 종교성은 사회성과 치유의 기능으로 나타나고, 영성은 내면의 온전함으로드러난다.

[Objective] In this paper, I diagnose the de-religionization that characterizes as a result of the loss of religiosity. I will present the concepts of religiosity and spirituality in Buddhism from the perspective of early Buddhism and propose a specific methodology for Buddhist spirituality education. [Contents] I defined Buddhist religiosity by analyzing the Buddha's preaching declaration(傳道宣言) and the concept of kusala. Among them, the social dimension is proposed as the concept of Buddhist religiosity, and the personal dimension is proposed as the concept of spirituality. Through this, I argued that the origin of Buddhist religiosity lies in the Proclamation. And I found the specific meaning of 'Buddhist spirituality' in the concept of kusala, and revealed that 'eightfold path' is suitable as a specific method of Buddhist spiritual education. [Conclusions] Buddhist religiosity is related to the identity of Buddhism pursued by the Buddha, and it is the 'socialization of enlightenment' shown in the 'Proclamation'. Spirituality, as a life-changing principle, is the process of enlightenment: religiosity manifests as a function of socialization and healing, while spirituality manifests as inner wholeness.

Ⅰ. 서론

Ⅱ. 전도선언에 나타난 불교 교육의 방법과 목표

Ⅲ. 종교성 상실과 탈종교와의 관계

Ⅳ. 불교의 영성교육

Ⅴ.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