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표지.png
KCI등재 학술저널

홍와 이두훈의 현실인식과 사유세계

A Study on the Awareness of the Reality and Contemplative World of Hongwa Lee Doo-hun

DOI : 10.33213/THLJ.2023.0.33.173
  • 43

이 글은 19C 후반부터 20C 초반에 경북 칠곡에서 태어나 고령, 성주, 거창, 합천 등지에서 주로 활동했던 홍와(弘窩) 이두훈(李斗勳, 1856~ 1918)의 삶과 사유세계를 다양한 측면에서 살펴본 것이다. 그는 외세의 내정 간섭과 일본의 국권침탈이라는 급변의 시대에 전형적인 재야학자로서 학문수학, 창작저술, 독립운동 등에 전념했던 전형적인 재야 학자였다. 20세에 한주의 문하에 입문한 이후로도 동문들과 강회(講會), 향음주례(鄕飮酒禮), 결계(結契) 등을 개최하여 강학을 위한 분위기를 조성하였다. 또한 그는 국권의 침탈과 외세의 내정 간섭에 적극 대응하였다. 1896년 2월에 서양 열강에게 만국공법(萬國公法)의 국제법에 의거하여 일제 만행을 준엄하게 심판해줄 것을 요청하는 「포고천하문(布告天下文)」을 짓게 된다. 홍와가 초고를 작성하여 동문들과 완성하였고, 미국, 영국, 러시아 등 서울주재 각 공사관에 이를 발송하였다. 1905년에 을사늑약(乙巳勒約)이 체결되자, 이승희가 소수(疏首)가 되고 동문이 상경하여 을사늑약의 파기를 요청하는 「청주적신파늑약소(請誅賊臣罷勒約疏)」를 올렸다. 1907년 1월 29일에 국채보상운동이 발의되자, 고령지역 대표로서 활동하였다. 홍와의 교유관계는 주로 주문팔현(洲門八賢)의 동문들과 활동하였는데, 이들은 강회(講會), 강론(講論), 결계(結契), 스승의 유집 간행, 기행(紀行) 등을 통해 이루어졌다. 이런 활동의 목적은 몇가지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첫 번째는 위기에 직면한 한주 학설의 대응을 위한 동문간의 결속이며, 두 번째는 스승의 학문에 대한 학적 정립이며, 세 번째는 한주학파의 외연확장 등으로 정리해볼 수 있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from multiple perspectives the life and contemplative world of HongWa(弘窩) Li Doo-hun(李斗勳, 1856~1918) who was born in Seongju, Gyeongbuk, Korea and active mainly in Goryeong, Seongju, Geochang, and Hapcheon during the late period of the 19th century and the early period of the 20th century. The man, a scholar out of government office, dedicated his whole life to studying and writing literary works, carrying out independence activities, during the turbulent times of the intervention in domestic affairs from foreign powers and the deprivation of national sovereignty by the Japanese imperialism. After having joined Hanju academic circles, at the age of 20 years, he held Ganghoe(講會), Hayangeumjur(鄕飮酒禮), Gyeolgye(結契) and others, together with his colleagues, to create the academic atmosphere. Also, he actively confronted the deprivation of national sovereignty and domestic affairs from foreign powers. In February 1896, Li stated 「Pogocheonhamun(布告天下文)」 which requested western powers to strictly judge the atrocities of the Japanese imperialism, based on the international law of Mangukgongbeop(萬國公法). He prepared and completed its draft, before sending it to the American, British, and Russian legations in Seoul. With Eulsaneukyak(乙巳勒約) (Japan-Korea Treaty) signed in 1905, he and his colleagues made a written appeal of Cheongjujeoksinpaneukyakso(請誅賊臣罷勒約疏)」 led by Lee Seung-hui to the king to repeal the treaty. As Gukchaebosang- undong(National Debt Redemption Movement) was proposed on January 29, 1907, he undertook the role as the leader of Goryeong area. Hong Wa Li Doo-hun was active, cultivating the acquaintance of his colleagues from Jumunpalhyeon School to publish Ganghoe(講會), Gangron(講論), Gyeolgye(結契), scripts that his mentors had recorded during his life, and travel essay. The purpose of these activities can be examined according to three aspects as follows. The first purpose is to build up solidarity between colleagues, for Hanju academic circles that faced crisis. The second and third purposes are to secure the framework the academic work of the mentor and to expand the extension of Hanju-Hakpa

1. 서언

2. 생애와 인적 관계망

3. 여정(旅程)의 문학적 상상력과 사유세계

4. 결어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