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표지.png
KCI등재 학술저널

놀이중심교육과정 실천을 위한 ‘배움공동체’ 실행연구 -같은 지역 내 어린이집 보육교직원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implementation of the 'learning community' for the practice of a play-centered curriculum: focusing on childcare professionais in the same area

본 연구는 놀이중심교육과정 실천을 위한 배움공동체에 관한 실행연구로 같은 지역 내 어린이집 보육교직원의 실천에 관한 연구이다. 본 연구를 위해 2021년 3월부터 2022년 2월까지 놀이중심 교육과정을 실천하는 지역 내 3곳의 국공립어린이집 유아반 교사들과 원장이 참여하였다. 연구의 목적은 2019년 개정누리과정을 경험하면서 보육현장에 놀이중심교육과정이 어떠한 방향성으로 정착되어야 하는지 현장의 목소리를 중심으로 실천적 사안을 논의하는데 있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첫째, 같은 고민으로 시작하기로서 연구 참여자 모두 놀이중심교육과정의 어려움을 배움공동체라는 만남의 자리를 통해 이야기로 풀어나갔다.즉, 서로가 경험하는 공통된 어려움에 공감과 위로를 가졌고 이러한 경험은 보육현장속으로 다시 들어가 실천적 대안을 찾는 실천지로 이어졌다. 둘째, 새로운 시선 갖기로서 서로의 놀이 사례와 교실 환경을 공유하면서 나에게 익숙한 놀이와 공간도 낯선 교사에게는 배움을 이끄는 내부작용을 경험하면서 반성적 사고라는 교사 전문성을 갖게 되었다. 셋째, 배움공동체 경험은 연구 참여자 모두에게 사유를 통한 실천하기로 이어져 다각적으로 교육현장에 적용되어가기로 확장되었다. 본 연구는 2019 개정누리과정에서 지향하는 놀이중심교육과정이 보육현장에 어떻게 정착되어야 하는지 실천적 사안을 제시하는데 의의를 갖는다.

This study is an implementation study on the learning community for the practice of the play-oriented curriculum, and is a study on the practice of childcare staff at daycare centers in the same region. For this study, teachers and directors of three national and public daycare centers in the region who practice the play-oriented curriculum participated March 2021 to December 2022 participated.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discuss practical issues, focusing on the voices of the field, in what direction the play-oriented curriculum should be established in the childcare field while experiencing the revised Nuri course in 2019.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first, by starting with the same concern, all participants in the study solved the difficulties of the play-oriented curriculum through a meeting place called a learning community. In essence, they shared empathy and comfort amidst the challenges they collectively faced. These shared experiences paved the way for identifying practical alternatives upon their return to the childcare setting. Second, by sharing each other's play cases and classroom environment as a new perspective, I gained a teacher expertise of reflective thinking by experiencing internal effects that lead to learning for unfamiliar teachers. Third, the experience of the learning community led to practice through thought for all research participants, expanding to be applied to the educational field in various ways. This study implicates valuable insights into the establishment of a play-centered curriculum in the childcare settings in alignment with the goals of the revised Nuri curriculum in 2019.

Ⅰ. 들어가며

Ⅱ. 연구절차

Ⅲ. 연구 결과

Ⅳ. 나가며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