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 酒宴의 인원과 물품에 나타난 정치·사회적 질서 - 奎章閣 소장 회화 자료를 중심으로 -
Political and Social Order Shown in the People and Items of Drinking Banquet during the Joseon Peoriod : Focusing on paintings in the Kyujanggak Collection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소장 회화자료 중에서 음주 장면이 나타난 것으로는 「鍊戎臺賜宴圖」, 「書筵官賜宴圖」, 『功臣敎書附圖』, 「侍射官賞罰圖」, 「金吾契會圖」, 「南池 耆老會圖」, 「耆碩設宴之圖」, 「梨園耆老會稧帖座目」 등이 있다. 이들 자료는 대부분국왕이나 관료가 주도한 연회 장면을 그렸으며, 그림 속에 나타난 인원과 물품의배치나 활용을 통해서 음주가 갖는 정치ㆍ사회적 질서를 탐구할 수 있다. 본고는그림에 나타난 구성 요소를 참석자, 執事者, 물품으로 분류해 보고, 이들 요소가 정치적 위계질서를 드러내고 儀禮的 기능을 수행하고 있었음을 밝히고자 하였다. 그 결과 참석자들의 좌석 배치나 집사자의 연회 준비 활동, 술자리를 위한 각종 물품의 쓰임새 등에 관한 非文字的 정보를 통해서 조선시대 정치ㆍ사회적 질서의 한 단면을 포착할 수 있었다.
Among the painting materials owned by the Kyujanggak Institute of Korean Studies, many depictions of drinking scenes are included. Most of these painting materials depict banquet scenes led by kings and bureaucrats, and the political and social order of drinking can be explored through the arrangement and use of personnel and items shown in the painting. This paper attempts to classify the components shown in the picture into participants, performers, and items, and to find out that these elements revealed the political hierarchy and performed a ritual function. It is possible to capture one aspect of the political and social order of the Joseon Dynasty through non-textual information on the seating arrangement of attendees, the preparation activities of performers, and the use of various items for drinking.
Ⅰ. 머리말
Ⅱ. 참석자의 배치와 위계질서
Ⅲ. 執事者의 역할과 儀禮的 기능
Ⅳ. 연회의 물품에 구현된 禮制
Ⅴ.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