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표지.png
KCI등재 학술저널

국내 AAC 애플리케이션의 기본 인터페이스 화면과 어휘 산출 단계 분석을 통한 의사소통 효율성 고찰

A Study on communication efficiency through analysis of the main interface screen and sentence production stages of Korean AAC applications

  • 41

배경 및 목적: 한국의 하이테크 기반 AAC를 바탕으로 의사소통 효율성에 대해 살펴본 연구이다. 방법: 총 12개의 AAC 애플리케이션을 대상으로 기본 인터페이스 화면 구성 요소를 살펴보았으며, 각 애플리케이션마다 어휘 산출 단계 차이를 분석했다. 상징을 저장하고 공유하기 위해 개인화 데이터베이스를 제공하는지 여부를 분석하기도 했다. 연구 결과: 가장 많은 AAC 애플리케이션에서 기본 인터페이스 화면에 배치하고 있는 기능은 글자창이었으며, 그 다음으로 많이 배치된 기능은 지움 기능이었다. 공통된 문장으로 어휘 산출 단계를 분석한 결과, ‘물 주세요’에서는 최소 2단계에서 최대 23단계까지 차이가 났다. 다른 분석 대상 문장이었던 ‘오늘 날씨가 좋아요’에서는 최소 10단계부터 최대 16단계까지 차이가 났다. 개인 프로파일을 설정하고 저장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는 AAC는 총 4개였다. 결론: 본 연구는 국내 하이테크 기반 AAC 애플리케이션을 분석해 사용자가 본인의 의사를 빠르고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도록 효율성을 높이는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Background and Objectives: This study examined the users’ efficiency of communication based on the initial user interface screens and sentence production stages of Korean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AAC) applications. Method: Twelve AAC applications were analyzed in terms of their initial screen components and the differences in the sentence production process. In addition, the personalized interface was analyzed to determine whether it allows for efficient device switching and symbol editing. Results: The most common function placed on the initial screen in most AAC applications was the text input box, followed by the delete function. The analysis of the sentence production stages revealed that one sentence exhibited differences ranging from a minimum of 2 steps to a maximum of 23 steps, and another sentence showed differences ranging from a minimum of 10 steps to a maximum of 16 steps. There were a total of four AACs that provided functions to set and save personal profiles. Conclusion: This study discussed ways to improve communication efficiency so that users can quickly and accurately express their intentions by analyzing domestic high-tech AAC applications.

서 론

연구 방법

연구 결과

논의 및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