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표지.png
KCI등재 학술저널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장면 기반 감정상징 인식 및 표현능력

Recognition and Expression of Scene-based Graphic Symbols Representing Emotions in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 114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학령전기 자폐스펙트럼장애(ASD) 아동과 일반아동을 대상으로 장면 기반 감정상징의 인식과 표현능력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연구참여자는 3 세에서 6 세 사이의 ASD 아동 15 명과 일반아동 15 명이다. 장면 기반 감정상징 인식과제는 네 개의 장면 기반 감정상징을 한 화면에 제시하고 아동에게 목표 감정 어휘가 표상된 감정상징을 선택하도록 하였다. 감정상징 표현과제는 아동에게 14 개의 장면 기반 감정상징을 무작위로 하나씩 제시하여 그림에 나타난 주인공의 감정이 어떤지 질문하고 대답하게 하였다. 결과: 첫째, 감정상징 인식과제에서 ASD 아동과 일반아동 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감정상징 표현과제에서 싫음을 제외하고, 기쁨/좋음, 슬픔, 화남, 무서움 등의 감정상징 표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감정상징 표현과제에서 나타난 오류 유형을 분석한 결과, ASD 아동은 의미적 오류보다 비의미적 오류의 출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ASD 아동의 감정상징 인식과 표현능력이 일반아동에 비해 낮으며, 이는 정서적인 접근과 전체적인 상황적 맥락을 파악하는데 어려움으로 인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ASD 아동에게 AAC 체계를 적용할 때 장면 기반의 감정상징 학습을 위한 훈련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Background and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bility of preschool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SD) and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to recognize and express scene-based emotion symbols. Method: 15 children with ASD and 15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aged 3-6 participated. In the scene-based emotion recognition task, 4 scene-based symbols were presented on a screen and the children were asked to select the scene-based symbol related to the target emotional vocabulary. In the emotional expression task, 14 scene-based symbols were randomly listed and the children were asked to identify the emotions of the main character. Result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emotional recognizing between ASD and TD children. Second, except for dislik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emotional expression in the sence-based graphic symbols for joy/pleasure, sadness, anger, and scared. Analysis of error types in the emotional expression task showed that children with ASD had a higher rate of nonmeaningful errors compared to meaningful errors.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emotional expression and recognizing abilities of children with ASD are lower than those of TD children, which may be attributed to difficulties in grasping emotional approaches and overall situational contexts. The results indicate the need for training in scene-based graphic symbol learning when applying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AAC) systems for children with ASD.

서 론

연구 방법

연구 결과

논의 및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