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표지.png
KCI등재 학술저널

보조기기센터 종사자의 보완대체의사소통(AAC)에 관한 경험 및 인식 조사

A Survey on the Assistive Technology Center Workers’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배경 및 목적: 보조기기센터 종사자는 지역 내 보완대체의사소통(AAC) 서비스가 필요한 사람을 찾아내는 AAC 발견자 역할을 한다. 본 연구에서는 보조기기센터 종사자의 AAC 경험과 인식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전국에 있는 보조기기센터 총 29 곳의 151 명 종사자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설문에 응답한 총 80 건을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근무 경력이 오래될수록 AAC 교육 경험이 있는 종사자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1 년간 실시한 AAC 초기 상담 및 도구 교부 횟수는 1회 이상~10 회 미만이 가장 많았으며, 장애 유형으로는 뇌병변장애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조기기센터 종사자는 AAC 중재를 위해 최소한의 인지능력이 필요하다고 보고 있었으며, 도구 교부 업무 시 대상자의 인지능력을 가장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육・상담・교부 경험이 있는 종사자들이 AAC를 더 잘 이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교육・상담・교부 경험이 있는 집단과 그렇지 않은 집단의 인식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AAC 관련 상담 및 평가와 도구 교부 업무를 수행하는 보조기기센터 종사자의 AAC에 대한 경험과 인식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 결과는 AAC 발견자의 역할을 수행하는 보조기기센터 종사자의 역량 강화와 AAC 서비스 질 향상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마련하는 데 유용한 기초 자료가 될 것이다.

Background and Objectives: Workers at assistive technology centers play the role of finders and provide consultations to individuals who need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AAC). This study aimed to examine assistive technology center workers’ experience and perception of AAC. Method: An online survey targeting 151 workers at 29 assistive technology centers across the country was conducted, and a total of 80 survey respons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Result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longer the work experience, the more the workers had AAC education experience. The greatest number of initial consultations and provisions of AAC tools was at least one to less than 10 times those of the past year, and the most common type of disability was brain lesion disorder. Second, the workers believed that a minimum level of cognitive ability was required for AAC intervention and also considered cognitive ability as the most important criterion for recommending AAC intervention. Third, the workers with education, consultation, and provision experience appeared to have a better understanding of AAC. However, the difference in perception between groups with education, consultation, and provision experience and those withou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 This study examined the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AAC of assistive technology center workers who perform AAC-related consultation, assessment, and tool provision tasks.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useful basic data for strengthening the competence of the workers who play the role of AAC finders and developing specific action plans to improve the quality of AAC services.

서 론

연구 방법

연구 결과

논의 및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