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표지.png
KCI등재 학술저널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대학생의 이성 간 비현실적 기대에 미치는 영향: 정서표현 양가성에 의한 부적응적 완벽주의의 조절된 매개효과

The Effect of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on Unrealistic Expectations in Romantic Relationships of University Students: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Maladaptive Perfectionism by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on

본 연구는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대학생의 이성 간 비현실적 기대에 미치는 영향에서 정서표현양가성에 의한 부적응적 완벽주의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대학생 254명을 대상으로 온․오프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SPSS 26과 PROCESS macro 4.0을 통해 주요 변인들의 상관관계 및 매개 효과, 조절 효과를 분석하고 Boostraping을 통해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부적응적 완벽주의, 정서표현양가성, 이성 간 비현실적 기대는 변인 간 정적 상관을 나타내었다. 둘째,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이성 간 비현실적 기대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적응적 완벽주의는 매개효과가 있었다. 그 과정에서 부의 심리적 통제가 모의 심리적 통제와는 달리 직․간접 영향력이 모두 확인되었을 뿐만 아니라 모의 심리적 통제보다 높은 영향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이성 간 비현실적 기대에 미치는 영향에서 정서표현양가성에 의한 부적응적 완벽주의의 조절효과는 확인할 수 없었다. 이에 추가분석을 통해 정서표현양가성의 하위요인인 관계관여적 양가성이 이성 간 비현실적 기대의 하위요인인 독심술과 조절효과를 가짐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대학생의 이성 관계의 어려움을 돕기 위한 상담적 의의를 논의하였다.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verify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maladaptive perfectionism by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on in the effect of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on unrealistic expectations among romantic relationships of university students. Method: Data collected for this study were analyzed for correlation, mediating effect, and moderating effect of major variables applying SPSS 26 and PROCESS macro 4.0, and a boosting algorithm was employed to verify significance. Results: The influence of parents' psychological control on the unrealistic expectations of university students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ambivalence of emotional expression on maladaptive perfectionism were confirmed. Conclusions: As a result of the study, it has been confirmed that relational ambivalence lowers mind reading among unrealistic expectations in romantic relationships. Therefore, it suggests that if you recognize and practice the importance of expressing emotions through counseling, you can help restore emotional communication and form healthy relationships.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