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표지.png
KCI등재 학술저널

청년 재직자의 첫 일자리 입직 및 적응 경험 탐색: 비서울소재 대학, 인문사회계열 전공자를 중심으로

Exploration of the first job entry and adaptation experience of young workers: Focusing on graduate majoring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in Regions other than Seoul

본 연구는 비서울소재 4년제 대학을 졸업한 청년 재직자의 첫 일자리 입직 및 적응 경험을 탐색하려는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청년 재직자 6명을 대상으로 일대일 면담을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질적 내용분석(qualitative content analysis)의 방법으로 면담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청년 재직자의 첫 일자리 입직 경험, 청년 재직자의 첫 일자리 적응 경험, 청년 재직자의 첫 일자리 입직과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구분하여 정리하였다. 먼저, 첫 일자리 입직 경험에서는 ‘대학에서 취업을 준비하고 경험함’, ‘입직 전 호된 현실을 맞닥뜨림’, ‘확신은 없지만 일단 직장을 선택함’, ‘주도적으로 직장을 선택함' , 원하는 정도가 낮은 직업 대안들 중에서 선택함’이 도출되었다. 첫 일자리 적응 경험에서는 ‘기대했던 직장생활과는 다름’, ‘일과 자기에 대해 알아감’, ‘이직을 마음 한쪽에 품고 일함’, ‘일-자기 불일치에 대해 자신만의 방법으로 대처함’,‘일을 통해 나를 성장시킴’이 도출되었다. 마지막으로 첫 일자리 입직과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개인내적 특성’, ‘가정환경’, ‘또래집단’, ‘직업환경’의 범주로 도출되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비서울소재 대학을 졸업한 청년층의 취업과 이직, 직장에서의 적응과 지원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고 향후 연구를 제안하였다.

This study explored the first job entry and adaptation experiences of young workers who graduated from four-year colleges located outside Seoul. For this purpos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one-on-one interviews with eight young workers, and the research results were derived using data from six people who met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divided into the experience of the first job entry, the experience of adaptation, and the factors affecting the first job entry and adaptation experience of young workers. First of all, the first job entry experience was derived to ‘prepare for and experience employment in colleges’, ‘face a harsh reality before entering the job’, ‘choose a job without confidence’, ‘take the initiative’ and ‘choose from low-level job alternatives’. The first job adaptation experience was derived to ‘realize that it was different from expectations’, ‘know about work and oneself’, ‘consider changing jobs’, ‘cope with work-self discrepancies in one's own way’ and ‘to grow me through work’. Finally, the factors affecting the first job entry and adaptation were derived into the categories of individual characteristics, family environment, peer group, and job environment. Based on the result, implications were discussed.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방법

IV. 결과 및 해석

V.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