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표지.png
학술저널

금-은 폐광산 광미의 수은 열적감량 특성 연구

Thermal Desorption Charateristics of Mercury Contaminated Tailings from Gold-Silver Mine

수은의 위해성 및 광범위한 오염에 대한 국제적인 공동대웅의 필요성을 인지하여 정부 간 논의를 거쳐 수은의 노출로부터 인간의 건강과 환경을 보호하기 위한 ‘수은에 관한 미 나마타 협약 (Minamata Convention on Mercury)’ 이 2013년 채택되었다. 우리나라는 2014년 협약 서명 후 2019 년 11 월에 유엔 사무국에 비준서를 기탁하였다. 협약의 주요 목적을 수은의 노출로부터 이간의 건강과 환경을 보호하기 위함에 있으며 10개의 지원조항, 11개의 조직 관련사항 그리고 12 개의 의무조항으로 구성 되어 있다. 위 의 무사항 중 제 7조 소규모 및 영 세 금광 (Artisanal and small-scale gold mining). 제 11조 수은 폐 기 물 (Mercury Wastes) 그리고 제12조 오염 지역(Contaminated sites) 에 관한 내용을 다루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수은 오염 광미의 열처리를 통하여 수은 농도 저감 후 최적 조건을 도출하여 반응속도론적 해석을 통해 열처리 특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수은 오염 광미를 전기로를 이용하여 300 ~ 700℃ 온도 범위에서 각 l00℃ 간격으로 1 atm 압력조건에서 진행하였다. 각 온도 조건 별 체류 시간은 60초, 180초, 300 초, 600초, 1200초. 1800초 조건으로 열처리를 진행하였다. 열처리 후 잔재물에 대한 수은 함량 분석을 진행하였으며 이를 통해 반웅속도 모델링을 진행하였다. 반응속도 모델링을 통하여 향후 수은 오염 광미의 열처리 후 목표 수은 농도를 달성하기 위한 온도 조건별 체류 시간을 반응속도 모델링을 통하여 반응속도 차수를 결정하고 수은 농도 저감율 및 Arrhenius Equation을 이용하여 반응속도식 작성을 위한 변수 (활성화 에너지, 반응차수, 아레니우스 상수등)의 값을 도출하고자 한다.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