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저널
국지배출에 의한 서울시의 연무생성 잠재력의 해석
Analysis for Haze Formation Potential related with Local Emission during the High PM10 Episode in Seoul, Korea
- 한국환경에너지공학회
- 한국환경에너지공학회 학술대회지
- 2022년 춘계학술발표회
- 2022.06
- 211 - 211 (1 pages)
서울의 대기오염물질 배출량은 2000년대 이후로 꾸준한 하향세를 보였다. 반면에 대기 중 미세먼지 농도 수준은 최근에 이르러 정체되어 있는 상태이다. 본 연구에서는 난방기간동안, 국지 배출에 의한 연무생성 잠재력 (HFP, Haze Formation Potential) 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분석하여 서울의 미세먼지 농도가 정체된 원인을 도출하였다. 분석을 위해 2001년부터 2016년까지 난방기간 동안 서울의 5개 추이 측정소의 PM10 데이터(시간 평균)를 활용하였으며, PM10 농도를 비교하여 국지 배출로 인한 HFP(Haze Formation potential)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서울시의 HFP는 약 250μg/m3 에서 약 80μg/m3(2001~2015년) 수준으로 감소하였고, 고농도 발생 시 풍속이 낮은 경향을 보였다. 또한 PM10 고농도 에피스도 발생빈도와 피크레벨 모두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결과적으로 외부의 영향으로 인하여 서울시 미세먼지 농도가 정체되었음을 추정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