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기물소각시설의 에너지회수효율 및 유효이용에너지 분포 분석
Calculation and Distribution Analysis of Energy Efficiency of Waste Incineration Facilities in Korea
- 한국환경에너지공학회
- 한국환경에너지공학회 학술대회지
- 2022년 춘계학술발표회
- 2022.06
- 229 - 229 (1 pages)
에너지 에너지회수효율 산정방법(환경부고시 제 2015-200호)은 폐기물 소각 시 발생되는 열원 즉, 생산된 에너지를 기준으로 회수효율을 산정하여 4R 정책(발생 억 제 (Reduce), 재이용(Reuse), 재 활용(Recycle), 회 수(Recovery)) 흐름에 부합하는 기준을 따라왔다. 그러나 2017년 「에너지회수효율 측정 • 산정방법 및 절차 등에 관한 고시」 를 제정하며, 열원으로 국한되었던 소각열에너지를 증기, 전기, 온수등으로 확대하고 에너지의 회수 · 이용에 초점을 맞추어 다양한 형태의 소각열에너지로 활용될 수 있는 정책적 기반을 마련하였다. 본 연구는 정책 시행 이후, 생활 및 사업장폐기물 소각시설의 에너지회수효율 산정결과를 비교하고, 소각열 회수 · 이용 분포를 분석하였다. 폐기물처분부담금 기준, 에너지회수효율 50% 이상인 시설(처분부담금 감면 대상) 비율은 정책 반영 이후로 83.8% 에서 86.5%로 연도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소각열에너지의 유효이용에너지 분포의 경우, 생활폐기물 소각시설은 외부 판매에 주력된 경향을 보였으며, 그 중 증기 41.8%, 온수 42.7% 의 공급 비율을 보였다. 사업장폐기물 소각시설은 생활폐기물 소각시설과는 달리 증기의 내부 활용이 91.8%로, 부지 내 제조공정 둥으로 대부분의 소각열을 자체 소모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