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표지.png
학술저널

고형연료제품 제조시설 발생 잔재물의 특성 분석

characteristic analysis of residues generated in SRF manufacturing facilities

고형연료제품 제조시설은 연간 472 만톤의 폐기물을 처리하여 평균 60~80%의 높은 생산수율을 나타내고 있으며 2020년 기준 국내 고형연료제품 제조시설은 269 개소이며 제조시설과 공급량은 매년 증가하는 추세이다. 또한 제품의 환경 안정성 강화 및 품질 등급제를 시행하여 고품질화를 유도하고 있다. 하지만 고형연료제품 제조 후 발생되는 잔재물은 투입폐기물 대비 35~40 %이며 대부분 매립지에 최종처분 되고 있다. 국내의 경우 잔재물로 인한 환경부하와 잠재적 자원의 손실 발생으로 잔재물의 재활용 및 효율적인 최종처분을 위한 제도적 관리방안 마련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고형연료제품의 종류, 제조원료, 공정구성 둥을 고려하여 생활 · 사업장폐기물 고형연료제품 제조시설 7개소를 선정하여 공정 흐름 및 관리실태를 조사하고 발생하는 잔재물의 배출 특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고형연료제품을 제조한 후 발생하는 잔재물의 입도별 분리에 따른 강열감량, 유기이물질함유량, 발열량, 탄소 함량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적정 선별조건 및 관리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발생 잔재물은 시료채취 후 수선별을 통하여 조성별(가연물, 불연물, 기타) 구성 비율을 파악하고 특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잔재물의 조성분석 결과 가연성폐기물이 13~95 %의 비율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발열량 분석 결과 가연물 평균 5,555 kcal/kg, 기타 평균 2,039 kcal/kg으로 나타났다. 잔재물의 물리적 조성에 따른 가연물의 회분함량 분석 결과 SRF 제조시설 발생 가연물의 경우 평균 18.7 %, Bio-SRF 제조시설 발생 가연물은 평균 5.1 %로 분석되었으며, 분리된 가연물을 SRF로 제조할 경우 품질기준 항목의 회분함량 20% 이하의 조건을 충족하는 시료의 비율은 약 66.7 %, Bio-SRF로 제조할 경우 회분함량 15% 이하 조건에는 모두 충족하였다. 또한 잔재물의 입도별 분리에 따른 적정선별을 통해 매립과 소각처분의 효율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