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표지.png
학술저널

PVC, CoPP, PMMA 혼합플라스틱의 재질 분리를 위한 마찰하전 정전선별 연구

Study on triboelectrostatic separation for material separation of PVC, CoPP and PMMA mixed plastics

  • 2

경제적이며 우수한 물질특성을 갖춘 풀라스틱온 대체재 개발이 어려워 사용량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이 에 따른 폐풀라스틱의 발생량도 중가하고 있다. 국내의 폐플라스틱 발생 량은 해 마다 중가하는 추세 로 2018년 817만 톤으로 690만 톤의 2015년 대비 18.4% 중가하였다. 이 중 65.6%는 재활용되고 있지만, 나머지 34.4%는 소각이나 대립되고 있어 사회적, 환경적 문제를 일으키고 있다. 소각하여 부피를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한 고체 폐기물은 소각이 나 매립이 일반적 이 다. 그러 나 폐풀라스틱의 소각이나 매립은 매립지의 부족, 환경오염 동의 문제를 일으키고 있어 재활용을 위한 기술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폐플라스틱의 경우, 여러 가지 재질 이 혼재해 있으면 재생이 어렵고 재생이 되더라도 제품 또는 원료로서의 가치가 현저하게 낮아진다. 특히, PVC 재질의 경우 Cl, DEHP, 왁스 동이 함유되어 있어 소각이나 매립 시 염화수소, 다이옥신, 중금속 그리고 독성첨가물 둥이 유출되어 환경 유해성이 심각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소각 설비의 수명 단축 및 부식을 유발하고 있다. 따라서 플라스틱의 값싼 특성을 고려한 효율적인 재질분리 기술의 개발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마찰하전 정전선 별올 적용하여 PVC (polyvinyl chloride)와 CoPP (copolymer polypropylene) 그리 고 PMMA (polymethyl methacrylate)가 혼합된 폴라스틱의 재질분리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전극의 세기, 공기의 세기, 분리 대의 위치 그리고 습도를 변화하며 최적 분리조건 및 분리효율을 규명하여 대상 시료의 본 선별법을 통한 분리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