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조응축수의 생물학적처리 운영조건에 따른 TOC 제거 효율 평가
Evaluation of TOC Removal Efficiency According to Operating Conditions for Biological Treatment of Condensate after Dry Process
- 한국환경에너지공학회
- 한국환경에너지공학회 학술대회지
- 2022년 추계학술발표회
- 2022.12
- 407 - 407 (1 pages)
음식물류폐기물의 처리 및 자원화는 매립, 소각, 퇴비화, 사료화 및 바이오가스화와 같은 기술로 처리 및 재활용되고 있다. 사료화 방법의 경우 조류인플루 엔자(AI) 및 아프리카 돼지열병 (ASF) 의 발병으로 습식 사료의 급여가 금지됨에 따라 민간 습식사료화 업체들은 습식 사료화 공정에서 건식사료화 공정 으로 전환하고 있는 추세에 있다. 건식사료화 공정에서 발생하는 폐 수인 건조웅축수는 고농도의 유기물을 포함하지만 고형물, 질소 및 인의 농도가 낮고 pH 또한 낮은 특성을 갖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음식물류폐기물의 건식사료화 시설 중 자체 폐수처리창을 보유한 G 업체에서 발생하는 건조응축수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배출허용기준 항목 중 TOC를 중점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건조응축수의 생물학적처리 운영 조건 도출을 위해 40 L/d 규모의 Lab. 반응기를 제작하였으며 운영조건(HRT, BOD 유입부하 및 F/M ratio) 변화에 따른 TOC 제거효율을 평가하였다. 운영 조건의 변화는 phase 1부터 phase 4까지 단계적으로 운영하였으며 phase 3 운영조건인 HRT 5 일 , BOD 유입부하 0. 30 士0 . 02 kg BOD/ct 및 P/M ratio 0.40 土0. 02 kg BOD/kg MLSS/d에서 처 리수의 TOC 농도는 평균 49. 5 土9 . 6 mg/L, TOC 제거효율은 99.2%로 관찰되었다 이는 "나" 지역 TOC 배출허용기준인 75 mg/L 이하를 충족하며 안정적인 처리수의 수질을 확보할 수 있는 운영조건으로 판단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건조웅축수를 생물학적으로 처리하여 방류하는 실중시설에서 운영 안정성과 처리수의 안정적인 수질확보를 위한 기초자료로써 활용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