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표지.png
KCI등재 학술저널

지역사회 노인의 사회연결망 분석에 대한 체계적 고찰

Systematic Review on the Analysis of Social Networks Among Elderly in the Community

목적 : 사회적 연결망이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사회적 연결망이 손실되는 다양한 방식에 대한 통찰력을 얻고 건강 결과와 직접적으로 연결된 특정 측면을 탐구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 2013년 6월부터 2023년 6월까지 국내 주요 데이터베이스(Korean 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Korea Citation Index, Google Scholar)에 등록된 문헌 자료를 검색하였다. 검색용어는 “사회연결망” and “노인” and “지역사회” and “건강”을 사용하였다. 검색된 1,744편 중 최종 13편의 연구를 분석하였다. 결과 : 분석된 연구에 참여한 대상은 총 79,491명으로 그중 여성 46,945명(59.1%), 남성 32,546명(40.9%)이었다. 분석된 사회연결망 측정방식은 가족, 친척, 이웃, 친구, 그 외 사람들의 수 및 접촉 빈도였다. 사회연결망에 따른 건강관련 지표는 우울과 주관적 건강이 6건으로 가장 많았으며, 만성질환 수, 신체기능, 일상생활활동, 통증, 고립 등이 있었다. 사회연결망과 건강과의 관계를 분석기법으로는 회귀분석이 10건으로 가장 많았으며 상관분석 7건, t-test 5건, 분산분석 3건, 요인분석 2건, 구조모형분석 2건, 카이스퀘어 검정 2건 순으로 나타났다. 그 밖에 F-test, 적합도 분석, 다집단분석, 경로분석, 부트 스트래핑(bootstrapping), sobel test가 있었다. 결론 :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추후 지역사회 고령자를 대상으로 한 사회연결망 프로그램의 정책 및 중재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적용할 수 있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는 데 그 의의가 있다.

Objective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mpact of social networks on elderly health in communities, understanding the various ways social networks are lost and exploring specific aspects directly related to health outcomes. Methods : Literature data from major domestic databases (2013~2023) were searched using terms “social network” and “elderly” and “community” and “health”. Out of 1,744 papers, 13 were analyzed. Results : This study examined a total of 79,491 subjects, comprising 46,945 female (59.1%) and 32,546 male (40.9%). Measurements for social networks encompassed contact frequency with family, relatives, neighbors, friends, and others. Health-related indicators linked to social networks primarily included depression and subjective health, followed by the number of chronic diseases, physical functions, daily activities, pain, and isolation. Regression analysis was most commonly employed (10 cases), followed by correlation analysis (7 cases), t-tests (5 cases), ANOVA (3 cases), factor analysis (2 cas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2 cases), and chi-square tests (2 cases). Other techniques involved F-test, fit analysis, multigroup analysis, path analysis, bootstrapping, and Sobel tests. Conclusion : The study's significance lies in providing a basis for future policies and intervention programs targeting social networks for the elderly in communities.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고 찰

Ⅴ. 결 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