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지.png](http:///contents.kyobobook.co.kr/sra/upload/book_img/104/1049151.png)
생활폐기물 소각시설의 에너지회수효율 산정인자 개선방안 연구
Improvement of Energy Recovery efficiency factors for municipal solid waste incineration facilities
- 한국환경에너지공학회
- 한국환경에너지공학회 학술대회지
- 2022년 추계학술발표회
- 2022.12
- 440 - 440 (1 pages)
국내 폐기물소각시설의 소각열 회수 · 이용은 유럽 Rl 제도룰 도입하여 2018 년「자원순환기본법 」 ‘폐기물처분부담금 감면을 통해 본격적으로 활성화되었다. 해당 제도의 시행으로 중기 형태로 국한되었던 소각열 에너지는 전기, 온수, 소각 배가스 등 다양한 유형으로 활용되었으며, 감면 혜택 수혜를 위한 소각시설의 회수효율 제고 방안이 모색 되었다. 본 연구에서 에너지회수효율 산정식 도입 후, 국내 소각시설 운영 실정에 부합하는 객관적인 검증방안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축적된 생활폐기물 소각시설운영자료(‘19~‘22)를 바랑으로 기존 폐기물 저위발열량 산정식의 주요인자(열손실 보정계수) 비교 · 검토를 수행하였다. 에너지회수효율 인중서룰 발급받은 생활폐기물 소각시설(2 13 호기)을 대상으로 열정산법 (Heat balance)을 통해 열손실 보정계수를 계산하였다. 방열손실, 소각잔재물 동에 의한 기 타 열손실 보정계수(a | B)는 1.054로 기존 수치 대비 근소한 차이를 보였으나 배 출가스 온도로 인한 열손실 보정계수(r / /3)의 경우, 2.038로 초기 보정계수와 큰 격차를 보였다. 따라서 국내 폐기물 소각시설의 에너 지 회수 극대화 노력에도 불구하고 시설 노후화, 소각로 특성(운전 온도에 따른 방열손실) 등으로 인한 간극 해소 및 회 수효율 산정식 현행화를 위하여 국내 실정에 부합하는 폐기물 저위발열량 산정식 보정계수의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