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제품원단위 변동에 따른 도금공장의 유틸리티 소비량 예측 연구
A study on the prediction of utility consumption in plating plants according to product unit changes for GHG reduction
- 한국환경에너지공학회
- 한국환경에너지공학회 학술대회지
- 2022년 추계학술발표회
- 2022.12
- 453 - 453 (1 pages)
국내 도금공장들은 동종업종이 모여서 조합과 같은 집단을 이루어 공장들이 형성된 사례가 많으며, 스팀 및 압축공기와 같은 유틸리티의 사용 방식도 유사한 경우가 많다. 중소규모 공장으로 형성된 도금공장들온 통상적으로 개별공장별로 유틸리티를 생산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집단에너 지공급시설이 있는 산업단지의 경우에는 스팀을 공급받아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제조 공장의 경우 유틸리티 공유 개념을 도입하여 효율적인 유틸리티 사용과 에너지철감에 대한 인식이 미미한 실정이다. 집단에너지 공급시설로부터 공급받는 스팀의 경우에 도 제조공정에서 사용 후 배출되는 응축수 동 폐열을 회수하지 않고 폐기 되고 있다. 이는 제조공장에서 사용 되는 에너지의 효율적인 이용을 어렵게 하는 원인이 되고 있다. 또한 개별공장에서 사용되는 유틸리티 사용량 분석이 진행되고 있지 않고 데이터의 수집이 어려운 상황에 서 유틸리티 사용량 예 측은 더욱 어려운 실정이다. 다수의 공장에서 유틸리티를 공유하여 사용하는 조합의 경우에 도 효율성에 대 한 분석과 예측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중소 규모 공장들의 효율적인 유틸리티 공유를 통한 에너지 절감과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서는 개별 공장들의 유틸리티 사용량 분석 및 예측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도금공장의 유틸리티의 효율적인 공유를 통해 에너지 절감과 온실가스 감축시스템 구축을 위한 개별 공장의 제품원단위 변동에 따른 유틸리티 사용량 분석과 예측에 대해 고찰하였다. 이는 제품원단위 변동에 대한 Case Study 결과를 이 용하여 예측기법의 인자로 활용하기 위한 기초연구로 수행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