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표지.png
학술저널

바이오매스 발전 플랜트 CO₂ 포집 공정 경제성 분석

Economic Analysis of CO₂ capture process of biomass power plant

  • 29

정부는 2020 년 10 월 2050 년 탄소중립 목표를 선언하고 이를 추진하기 위한 "2050 탄소중립 추진전략"을 발표하였다. 주요 온실가스 배출원은 발전, 산업, 건물, 수송 분야로 구분할 수 있으나 국가 온실가스 인벤토리는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 지침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Guidelines, 이하 ‘IPCC GL' )에 따라 온실가스 배출량을 에너지, 산업공정, 농업, 폐기물, LULUCF(Land Use, Land Use Change and Forestry, 토지이용, 토지 이용 변화 및 임업)으로 구분하여 온실가스 (CO₂, CH₄, N₂O, HFCs, PFCs, SF₆) 배출량을 산정하며 2018 년 기준 우리나라 온실가스 총배출량 (LULUCF 제외 )은 727.6 백만톤 C02eq으로 나타났다. 2019 년 기준 국내 발전 5 개사(동서발전, 서부발전, 중부발전, 남동발전, 남부발전)에서 배출되는 온실가스는 211.3 백만톤 C02eq로 발전분야에서의 C이 배출이 전체 배출량의 약 40% 수준을 차지한다. 이에 따라 화석연료 발전 중심의 전력 공급 체계를 재생에너지와 그린수소 중심으로 전환하고 이산화탄소포집 (CCUS) 기술 등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전력 부문의 탄소 중립 추진할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정부의 탄소중립 추진전략과 연계할 수 있는 방안으로 동해 바이오매스 발전 플랜트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의 포집 및 활용 기술 적용에 따른 경제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