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표지.png
KCI등재 학술저널

문법 모형에서 어휘선택 이전 ‘의도 접합부’ 고려의 필요성

The necessity of considering the 'Intentional Interface' prior to lexical selection in Grammatical Models

이 글은 문법 모형과 수행 모델의 통합을 지향하며, 이에 따라 기존의 문법 모형이 수행 모델에서 어떠한 역할을 하는가를 알아보고, 필요한 논의를 보충하는 것이 목적이다. 기존의 문법 모형은 이후 발화를 고려하여 둘 사이의 연결고리인 ‘접합부’를 둔다. 하지만 수행 모델 내에서 문법 모형의 위치는 ‘개념화’와 ‘발성화’의 사이인 ‘언어화’에 해당하는 것으로, ‘발성화’와의 연결을 위한 ‘접합부’뿐만 아니라 ‘개념화’와의 연결을 위한 ‘접합부’도 필요하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따라 이 글에서는 ‘개념화’와 ‘언어화’의 연결고리로서 ‘의도 접합부’를 두어야 함을 주장하고 그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어휘부의 어휘선택 과정으로 설명하였다. 간추리자면, 기존의 문법 모형에서는 어휘부의 어휘선택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비중 있게 다루지 않는데, 이 글에서는 어휘선택이 ‘의도 접합부’에서 해석된 ‘의도’에 따른 것이라고 본다. 이러한 설명은 대표적으로 관용 표현 생성, 능동 표현과 피동 표현의 생성, 어근 분리 등을 이론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해 준다고 생각한다.

This article aims to integrate "Grammatical models" and "Performance models".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lucidate the role that existing grammatical models play in performance models and to supplement necessary discussions. Existing grammatical models incorporate an 'Interface' to serve as a link between them, taking subsequent utterances into consideration. However, within performance models, the position of grammatical models aligns with the 'Formulator', situated between the 'Conceptualizer' and 'Articulator'. It has been identified that not only is an 'Interface' needed for connection with the 'Articulator', but an 'Interface' for connection with the 'Conceptualizer' is also imperative. Therefore, this article argues for the establishment of an 'Intentional Interface' as a connecting link between the 'Conceptualizer' and 'Formulator'. The theoretical basis for this argument is explained through the lexical selection process in the lexicon. In summary, while existing grammatical models do not delve into how lexical selection occurs in the lexicon, this article posits that lexical selection is based on the 'Intent' interpreted in the 'Intentional Interface'. This explanation, I believe, provides a theoretical foundation for explaining the 'Generation of Idiomatic expression', 'Generation of Active and Passive expressions', and 'Root separation'.

1. 머리말

2. 기존의 문법 모형 검토

3. 의도 접합부 설정을 위한 이론적 배경

4. 의도 접합부의 구체적 활용

5.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