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C. 2세기 후엽경 북한강유역권에서는 가평 대성리와 달전리, 그리고 최근 발굴된 남양주 금남리 등지를 중심으로 이전 시기와는 다른 새로운 계통의 철기문화가 구성된다. 이는 초기철기시대에 유행하던 주조철기문화와 함께 ‘단조제 무기류’를 주류로 한 단조철기문화가 결합된 양상이다. 이러한 철기문화는 오랜 기간 동안 낙랑군(樂浪郡) 설치에 따른 한(漢)의 선진적 철기문화의 이식으로 견지되어 왔다. 그러나 이 새로운 유형의 철기문화는 전국계 주조철기와 지역화한 단조제 무기류가 혼재된 양상을 보이며 한(漢)의 전형적인 철기는 도입되지 않는다. 이러한 특징으로 보았을 때, 새로운 유형의 철기문화를 구성할 수 있었던 세력은 고조선(古朝鮮)의 전통 위에 한(漢)의 병위재물(兵威財物)을 획득할 수 있었던 위만조선(衛滿朝鮮)으로 보는 것이 더 합리적이다. 위만조선에 의해 구성된 새로운 철기문화가 한반도 남부지역 중 특히 북한강유역권에 먼저 전달된 데에는, 이곳 지역세력이 위만조선이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친 가장 외연(外緣)의 지방세력이거나, 위만조선의 철기 유통망에 밀접하게 가담한 세력이었기 때문으로 추측된다. 즉 ‘중앙’으로부터의 밀접한 영향은 한반도 남부지역에서 가장 처음으로 초기철기문화와는 다른 보다 발전된 철기문화를 영위하게 된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그러나 이처럼 ‘중앙’과의 밀접한 지정학적 위치는 역설적이게도 도입된 철기문화가 지역사회 내에 연속적(連續的)으로 계승(繼承)되지 못한 원인이기도 한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낙랑군(樂浪郡) 설치라고 하는 외부사회의 정치·경제적 자극은 북한강유역권에서 상당 기간 동안 철기를 비롯한 고고학적 요소가 희소하게 되는 원인으로 작용한 것이다. 그러나 비록 이 새로운 유형의 철기문화가 북한강유역권 내에서는 지속적으로 계승되지 못했다 하더라도, 한반도 남부지역에서 완전히 사라진 것은 아니었다. 이것이 다시 영남지역으로 이입되면서 진·변한 철기문화의 주요 기종으로 계승(繼承)된다.
As the early iron age drew to a close, a new type of iron culture emerged in the Bukhan River basin, centered on the Daeseong-ri and Daljeon-ri sites in Gapyeong and the recently excavated Geumnam-ri in Namyangju. This is a combination of a new forged iron culture centered on “forged weapons” and the cast iron culture of the early iron age represented by rectangular cast iron parts and cast iron forges. This iron culture has long been regarded as a transplantation of the advanced Han iron culture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Lelang Commandery. However, this new type of iron culture does not introduce typical Han ironwork. In other words, the iron culture that appeared in the Bukhan River basin was based on the Gojoseon iron culture, which centered on cast iron. Moreover, it was the combination of forging technology introduced in Northeast Asia around the time of the Qin-Han dynasty that coincided with the transition to forged iron. Based on these characteristics, it is more reasonable to assume that the power that was able to form the new iron culture was Wiman Joseon, which was able to acquire Han military wealth in addition to the Gojoseon tradition. It is believed that the new iron culture established by Wiman Joseon first reached the sou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especially the Bukhan River basin. This was because these local forces were either the most external forces directly influenced by Wiman Joseon or were closely involved in Wiman Joseon's ironware distribution network. In other words, the close influence from the "center" was the first factor that led to the development of a more advanced iron culture in the sou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that was different from the early iron culture of the previous period. However, this geopolitical proximity to the “center” may have paradoxically contributed to the lack of succession of the introduced iron culture within the community. Political and economic stimuli from outside, such as the establishment of the Lelang Commandery, contributed to the absence of iron and other archaeological elements in the Bukhan River basin for a considerable period of time. This is evidenced by the disappearance of most archaeological elements, including iron, in the period between the fall of the Wiman Joseon Dynasty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Lelang Commandery.
Ⅰ. 머리말
Ⅱ. 북한강유역권 철기의 현황과 단계설정
Ⅲ. 북한강유역권 철기문화의 전개와 특징
Ⅳ. 새로운 철기문화의 등장배경과 위만조선(衛滿朝鮮)
Ⅴ.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