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봉토분 구획성토의 재검토 - 낙동강 중류 이동지역 조사사례를 중심으로

A Reconsideration on the Compartmentalized Embankment of Tumuli: The Case of the Middle Nadong-river Basin

  • 58

봉토분의 성토에 있어 구획성토는 용어의 적절성과 그 목적성에 있어 연구자마다의 의견 차가 존재한다. 이 논문은 구획이라는 용어 자체가 반드시 치밀한 기획을 근거로 하지 않았다는 관점에서 구획의 성격을 두 가지로 나누고 낙동강 중류 이동지역 봉토분의 구획성토 양상을 분석하여 그 성격을 재검토하는 데 목적이 있다. 분석 결과 봉토분의 방사상 구획성토는 봉토분의 단계별 수직공정에 따라 그 수가 변화하며 방사상 구획 성토의 개수와 수직공정의 횟수는 봉토분의 규모와 연관되어 늘어나는 경향이 확인되었다. 또한 최초로 구획 된 기획렬의 판별이 가능한 경우 기획렬은 수혈식 매장주체부와 대각으로 한 줄만 조성되었음이 확인되었다. 결국 방사상 구획은 기획된 구획 안에서 효율에 기초한 구획이 다시 이루어지는 것이며 봉토분의 규모가 커질수록 구획의 개수가 늘어난다는 것은 일일 최대 성토량 및 작업 중의 휴지기 등과 연관되어 효율에 기초한 구획의 수가 늘어남을 의미한다. 다만 이러한 경향과 반대로 봉분의 규모가 작음에도 상대적으로 구획의 수가 많은 경우가 있는데 이는 봉분 축조에 투입된 인력이 적기 때문에 효율에 기초한 구획이 늘어났음을 의미 한다. 봉토분은 당대 토목기술이 현현된 결과물로서 과학적이고 계획적으로 축조되었지만 규격화되기는 쉽지 않았을 것이다. 봉토분 축조에 있어 토목기술의 적용은 정형이 있었더라도 반드시 따르지 않았을 것이며 현장의 상황에 맞게 신축적으로 적용되었을 것이다. 이는 구획성토의 양상에서도 드러나며 구획성토가 작업분담의 목적이 아닌 성토기술로서 적용되었음을 시사한다.

Researchers have varying opinions about whether the term "compartmentalized embankment" is appropriate and serves its purpose when it comes to raising the mound of tumuli. This study aims to divide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partment into two from the perspective that the term compartmentalization is not necessarily based on meticulous planning and to reevaluate the nature of the compartmentalized embankment by analyzing its pattern from the tumuli in the Middle Nadong-river Basin.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the quantity of radial compartments in the tumuli varies by the vertical process of each stage of the tumulus, and that both the number of radial compartments and vertical processes tend to increase in relation to the size of the tumulus. In addition, when it was possible to identify the first compartmentalized planning row, it was found that only a single planning row was created diagonally to the main burial chamber with a pit burial style. In short, the radial compartment means that the efficiency-based compartmentalization occurs again within the planned compartment, and the number of compartments increases as the size of the tumulus expands, indicating that the number of efficiency-based compartments increases regarding the maximum daily fill volume and the breaks during work. However, in contrast to this trend, there are cases where the number of compartments appears relatively high though the size of the mound is small, which suggests that the number of efficiency-based compartments has increased due to the limited labor force invested in the construction of the tumulus. The tumuli were constructed scientifically and systematically as a result of the civil engineering technology of the time, though it would have been challenging to standardize it. The application of civil engineering technology in the construction of the tumuli may not have strictly followed a set pattern even if there was one, but would have rather been adapted flexibly to accommodate the conditions of the construction site. This is also shown in the aspect of compartmentalized embankment, suggesting that it was used as a technique to raise the mound rather than primarily to distribute the work.

Ⅰ. 머리말

Ⅱ. 구획성토에 관한 제논의

Ⅲ. 낙동강 중류 이동지역 봉토분의 구획성토 검토

Ⅳ. 구획성토의 양상과 그 성격

Ⅴ.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