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표지.png
학술저널

숲체험이 사회심리적 스트레스 및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act of forest experience on psychosocial stress and depression

  • 59

본 연구는 숲체험이 사회심리적 스트레스와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연구하였다. 그 결과를 근거로 일반정신건강과 우울감에 대한 정신건강의 건강증진적 의미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과 경기도에 위치한 지역에서 살고 있는 질병이 없는 건강한 성인 남자 16명, 여자 35명을 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자료처리는 spss21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사회심리적 스트레스 측정용 평가 도구로는 장세진이 단축형으로 개발한 KOSS-26 설문지를 사용하여 사회심리적 스트레스 전과 후를 확인하였다. 또한 우울감과 상태특성 불안검사에서는 불안에 대한 변화에 관련된 긴장, 우려, 근심 등의 양을 분석하였고, 일반 정신건강은 정상인의 숲체험 전 스트레스 수준을 측정하였고, 숲체험 후 스트레스 수준을 측정하여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사회심리적 스트레스의 숲체험 전과 후 두수간 (유의확률 .002, p〈.05 )로 유의 하였다. 둘째, 상태특성 불안검사의 숲체험 전과 후 두수간 (유의확률 .000, p〈.05)로 유의하였다. 셋째, 우울감 변화의 숲체험 전과 후 두수간 (유의확률 .000, p〈.05 )로 유의하였다. 넷쩨, 일반정신건강 척도의 숲체험 전과 후 두수간(유의확률 .000, p〈.05)로 유의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숲체험이 사회심리적 스트레스와 상태특성 불안감, 우울감 완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또한 일반정신건강 척도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사회심리적 스트레스와 불안감, 우울감, 일반정신 건강의 회복을 위해서 더 많은 숲체험을 통해 치유 효과를 기대해 본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forest experience on psychosocial stress and depression. Based on the results, the aim was to provide health promotion meaning of mental health for general mental health and depression.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16 healthy adult men and 35 women without diseases living in Seoul and Gyeonggi-do, and the spss21 program was used for data processing. As an evaluation tool for measuring social and psychological stress, the KOSS-26 questionnaire, developed in shortened form by Sejin Jang, was used to check before and after social and psychological stress. In addition, the depression and state-specific anxiety tests analyzed the amount of tension, concern, and worry related to changes in anxiety, and general mental health measured the stress level of normal people before forest experience, and measured the stress level after forest experience to determine differences. was analyzed. Research results: First, the difference between social and psychological stress before and after the forest experience was significant (probability of significance .002, p<.05). Seco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state trait anxiety test before and after the forest experience was significant (probability of significance .000, p<.05). Third, the change in depression was significant between before and after the forest experience (probability of significance .000, p<.05). Fourth, the difference between the general mental health scale before and after the forest experience was significant (probability of significance .000, p<.05). Through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forest experience had a positive effect on alleviating psychosocial stress, state-specific anxiety, and depression, and also had a positive effect on general mental health scales. In conclusion, we expect a healing effect through more forest experiences to recover from social and psychological stress, anxiety, depression, and general mental health.

Ⅰ. 서론

Ⅱ. 연구의 방법

Ⅲ. 연구의 결과

Ⅳ.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