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날 사인거뮤니케이션은 정보로서의 본래의 기능을 이행해야하고 문화적 배경이 고려된 매체방법으로 사용되어야 하며, 동시에 도시의 환경관계까지도 고려해야한다. 최근 사인커뮤니케이션은 예술성과 공익성 측면에시 각양각색의 예술적 졸거움을 위한 표현매체로서 연출되기 위해 다양하고, 더 높은 수준과 더 큰 의미가 포함되는 이들의 트렌드들을 반영하기 시작한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사인거뮤니케이션디자인의 예술성을 위한 디자인 적용요소(그래픽, 색채, 레이아웃, 형대, 구조, 조명 등)릅 영역화하는데 있으며 그와 더불어 사회적 공익성으로서 환경과 조화되는 명확한 방법의 사인커뮤니케이션을 연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사인커뮤니케이션디사인의 예술성과 공익성옹 위한 구체화된 디자인 조형 가본요소를 제안하고 미래의 나아갈 방향을 제시함로써 사인커뮤니케이션디자인 활성화에 기여하고자 한다.
Nowdays sign-communications must consider the environmental concerns for urban cities as well as perform the natural roles such as information media for the cultural background. It is now an early stage that sign—communications begin to reflect these trends as they are used as a production space for the enjoyment of art. They become diversified, bigger, and get upgraded in their consideration of form-giving and public good. Therefore, the research aims to identify the design factors for general applications (graphic, color, layout, form, structure, light etc. ) in form-giving of sign-communication design and suggest a way of a specific sign-communication design harmonizing with the environment for a social public good. We hope that the study on the sign-communication design will become more activated using the proposed approach pursuing a form-giving and public good based on the design factors identified.
l . 서론
II. 사인커뮤니케이션
III. 사인커뮤니케이션의 예술성
Ⅳ. 사인커뮤니케이션과 공익성
Ⅴ. 결 론
참고문헌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