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행 옥외광고물등관리법 시행령에서 나타나는 표시방법의 구태를 사례를 롱하여 고찰하고 이의 보완방안을 모색한다. 또한 표시방법 상에 나Ej-L.는· 제도 실현의 비현실성을 파악하고 위반 및 불법광고물의 양산배경을 추적하여 이의 근절책을 마련한다. 첫째, 법체계의 개선방안으로 1) 표시방법 상 규제권한을 조례로 이관 2) 간판의 용어 및 종류 분류를 재정립 3) 표시제한 및 표시방법의 통합 둘째, 시행령 상 표시방법의 개선방안으로 1) 일반적 표시방법 - 수량의 제한 2) 조형성이 배려된 제한 - 조례로 이관 3) 돌출간판의 표시방법 - 표시면적의 균등분배 4) 지주이용 간판의 표시방법 - 종합안내간판의 설치 5) 전기틀 이용하는 광고물 등의 표시방법 - 안전도검사로 이동
This study purposed to investigate obsolete cases of signs specified in the current Enforcement Decree of the Outdoor Advertisements, etc. Control Act, and to suggest plans to complement them. In addition, it attempted to understand the inapplicability the legal system appearing in the methods of displaying signs, track down the background mass-producing violations and illegal advertisements, and present solutions to put an end to such illegal practices. First, the legal system can be improved through: 1) transferring the authority of regulating the methods of sign display to ordinance; 2) redefining signboard terminology and re-establishing the classification method; and 3) integrating restrictions on signs and methods of sign display. Second, methods of sign display in the Enforcement Decree can be improved through: 1) restricting general methods of sign display - quantity; 2) restriction in consideration of formative beauty - transferring to ordinance; 3) display methods of projected advertisements - even apportionment of display areas; 4)methods of displaying signboards using supports - installing the signboard of general information; and 5) methods of display advertisements using electricity - moving to safety inspection.
I. 서론 - 연구목적 및 연구범위
II. 옥외광고물법령의 현황 및 개정 연혁
rn. 옥의광고물동관리법령에 관련한 문헌 연구
IV. 사례 연구
V. 결론 - 옥의광고물등관리법 시행령의 개선방향
참고문헌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