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옥외 입간판 광고의 글자체 유형과 성별에 따른 소비자 태도

A st udy on consumer's attitude through a style of type and the distinction of sex on an out door electronic-board advertising

  • 0
표지.JPG

본 연구는 옥외 입간판 광고의 글자체와 성별에 따라 광고에 대한 태도, 상표태도, 설득 수준 그리고 구매의도등의 커뮤니케이션 효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참여Xii:곤 편의 표집 된 대학생 200명 01 었다. 연구결과, 옥외 입간판 글자체 유형과 성별에 따른 상호작용 효과는 모든 종속측정치에서 밝혀지지 않았다. 단지 독립변수 중 글자체 유형만이 모든 부분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즉 옥외 입간판 광고의 신명조 글자체가 견명조 글자체보다 광고에 대한 태도와 상표태도, 설득 수준 그리고 구매의도에서 더 긍정적으로 평가되었다. 결론적으로 성별에 따른 입간판 글자체의 평가에는 별 다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글자체 중에서 신명조가 견명조 보다 더 효과적일 수 있다는 일관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This study analyzes the communication effects of attitude to advertising, brand attitude, persuasion level and purchase intention that a style of type and the distinction of sex on an outdoor electronic-board advertising. And 2 hundred university students were participa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task, the interactivity effects of a style of type and the distinction of sex on an outdoor electronic-board advertising cannot be explained that dependence measurement value. But, a style of type is a significant correlation among all dependant factors. It's can be more positive explained on advertising attitude and brand attitude, persuasion level, purchase intention that a 'sinmyounrjo type' more than a 'gyenmyounrjo type' of an outdoor electronic-board advertising. Conclusively, there is no different a style of type value through sex on an outdoor electronic-board advertising, but It can be explained that a 'sinmyounrjo type' is more effect that a 'gyenmyounrjo type' among the style of type.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결과 및 분석

Ⅴ. 논 의

참고문헌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