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미술교육에서 토의·토론이 어떠한 의미를 지니며 어떻게 실행해야 하는지 탐구하고 미술교육의 특성에 맞는 토의· 토론을 제안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타 교과 교육과정 및 미술과 교육과정에서의 토의·토론을 검토하고 분류하였다. 그 결과 교육과정에서 토의·토론의 목적은 학생의 참여 강화, 자신의 생각을 표현하는 기회 제공, 풍성한 해석 및 아이디어 개발, 지식 습득 및 의미 파악, 협력적 의사소통 및 합리적 의사 결정, 문제 탐구 및 해결 방안 모색으로 나눌 수 있었다. 이 중 비교적 적게 제시된 학생 참여 강화, 자신의 생각을 표현하는 기회 제공, 풍성한 해석 및 아이디어 개발을 위한 토의·토론을 지원하면서 현 교육과정의 중점 사항 및 미술의 특성에 부합하는 방법으로 스튜디오 크리틱의 도입을 제안하였다. 스튜디오 크리틱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스튜디오 크리틱을 중심으로 한 수업을 진행한 뒤 수업에서 어떠한 양상을 보이는지 성찰노트를 통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초기에는 돌아가며 한 마디씩 말하기, 정답 찾기, 생각-이미지-언어 사이의 장애물 마주하기로 나타났으나 후기에는 주인공 되기, 생각을 붙잡아 다듬기, 나에 대해 알아가기, 예측 불가능한 상황 즐기기로 변화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토대로 스튜디오 크리틱이 타 교과의 토의·토론과는 다른 앎의 방식을 경험할 수 있게 하는 미술과 고유의 방법임을 알 수 있었다. 끝으로 스튜디오 크리틱을 촉진하기 위한 방안으로 건설적인 스튜디오 크리틱을 위한 매뉴얼 마련하기, 충분한 시간 확보하기, 공통의 언어 갖기, 스튜디오 크리틱의 목적 공유하고 공감하기를 제안하였다.
This study explores the significance and implementation of discussion·debate in the art curriculum. To this end, it was reviewed and classified as the national curriculum of the other subjects and the past art subjects. Studio critique was proposed in consideration of the current curriculum's emphasis and the char-acteristics of art. Subsequently, a lecture focused on studio critique was conducted and an analysis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aspects and effects through reflection notes. As a result, the early studio cri-tique involved taking turns to speak, finding the correct answer, and facing the obstacles between think-ing-image-language. The later studio critique was changed to being the protagonist, holding on to thoughts and refining them, getting to know oneself, and enjoying unpredictable situations. Based on these findings, it is noted that studio critique provides a unique learning experience that distinguishes it from discussions on other subjects. To promote studio critique, it was proposed to prepare procedures for constructive stu-dio critique, secure enough time, have a common language, and share and empathize with the purpose of studio critique.
I.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교육과정에서의 토의·토론
Ⅲ. 미술과 토론·토의의 한 형태로서 스튜디오 크리틱 도입의 의의
Ⅳ. 미술과 토의·토론의 한 형태로서 스튜디오 크리틱의 실제
Ⅴ. 결론 및 제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