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표지.png
KCI등재 학술저널

예술가교사(teaching artist) 체험에 관한 생애사 연구

Life History Research about Teaching Artists’ Experience

  • 70

본 연구는 예술가교사(teaching artist)의 삶을 살펴보면서 이들의 삶에 예술가교사로서의 체험이 어떠한 의미를 지니는지 탐색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생애사 연구 방법을 통해 8명의 시각예술전공 연구참여자들의 유년 시절부터 예술가교사로 활동하는 현재까지의 삶을 깊이 있게 살펴보았다. 먼저 예술가교사의 전반적인 생애 과정을 이해하면서 예술가와 예술가교사로 활동하게 된 주요 배경을 알아보았다. 다음으로 예술가교사 시기는 네 가지, 즉 예술 수업 과정, 동료 교사와의 경험, 수업 참여자와의 경험 그리고 활동의 어려움과 갈등 상황으로 나눠서 기술하였다. 나아가 8명의 연구참여자가 문화예술교육을 경험하면서 예술가교사 활동이 이들에게 어떤 의미를 지니는지 고찰하고자 하였다. 자료의 분석을 바탕으로 크게 네 가지, 즉 ‘예술가로서 활동하게 해주는 버팀목’, ‘정체성을 확인해주는 좌표 역할’, ‘사회와 소통하는 채널’, ‘예술교육을 통한 사회 공헌’이라는 네 가지 의미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예술가교사 체험의 과정과 의미를 생애사적 접근을 중심으로 살펴보면서 예술가교사에 대한 논의를 더욱 확장해 나갔고, 국내에서 활동하는 예술가교사에 대한 이해를 돕는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identity that teaching artists construct as they experience arts and culture education. Through the life history research method, I looked in depth at the present lives of eight visual arts major research participants from their childhood to the present day as teaching artists and how the art educational experiences permeate the artists’ lives and construct their identities. First, while un-derstanding the overall life process of teaching artists, I looked into the main background of working as artists and teaching artists. Next, the period when research participants took the role of teaching artists can be described in four categories: art class process, experiences with fellow teaching artists, experi-ences with class participants, and difficulties and conflict situations in art education activities.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data, four main meanings were derived: 'a prop for artists to work as artists', 'a coor-dinate to confirm identity', 'a channel to communicate with society', and 'social contribution through art education'.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examines the process of identity construction from the perspectives of the teaching artists based on the life histories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further expand-ing the identity discussion of the teaching artists and using it as a basis for understanding teaching artists in Korea.

I. 들어가며

Ⅱ. 연구 방법 및 연구 절차

Ⅲ. 예술가교사 생애 과정의 양상

Ⅳ. 예술가교사 체험의 의미

Ⅴ. 나오며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