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KAA옥외광고 효과측정 모형의 현실 적용에 관한 연구

Applying for the model of effectiveness on Advertising outdoors: A hypothesized construct • of Korea Advertisers Association (KAA)

  • 0
표지.JPG

본 연구는 한국광고주협회 (KAA: korea Adverti se 『Assoc i ati on) 의 옥외광고 효과측정 모델의 현실 적용성에 관한 연구로 기존연구의 경우 소구대상과 유동인구에 대한 명확한 자료 없이 제시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어 현실적으로 적용하기가 매우 어려웠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KAA 모형에서 해당지역의 차량유동인구와 도보유동인구의 합올 광고접촉비율로 곱하여 유동인구로 정리하고 이를 기준으로 해당 광고제품의 목표소비자층 비율과 DEC에 노출된 인구의 타깃포함 비율을 구하는 별도의 조사연구가 있어야만 실제적인 활용이 가능하다는 결론을 내렸다. 결국 광고주협회의 옥외광고 효과측정 모형은 초기단계의 실험적인 모형으로써 기본적인 방향을 제시한 수준으로 보아야하며, 실제적으로 운영될 수 있는 옥외광고효과 측정모형은 본 연구에서 제시한 방법을 롱해 개별적인 연구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단된다.

While practical and theoretical importance of the effectiveness on advertising outdoors has been underscored, it is little known about the effect of advertising outdoors in Korea. Recently, we have attempted to develop a hypothesized model of effect on the domestic outdoors with Korea Advertisers Association (KAA) based on the examination of the major advertising outdoors in metropolitan area. Our model focused on DEC criterion that is internationally applied to measure advertising outdoors in a different way that prior research has concentrated to evaluate the approximate gross rating without an information of floating population and exact targets. However, our model should be considered to a exploratory model for the effectiveness on advertising outdoors until many empirical data are collected and analyzed for the validation of model. There are several directions which future research might take. One approach is to broaden the examination of practicability in various advertising outdoors. Another interesting approach involves the comparison of effectiveness among the various outdoor media such as subway, electric sign, and signboard, etc. It could contributed to establish the effective and efficient advertising strategy using outdoor media.

1. 서 론

II. KAA 옥의광고 효과측정모형의 현실적용에 관한 분석

Ⅲ. KAA 옥의광고 효과측정 모형의 현실적용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IV. 결 론

참고문헌

(0)

(0)

로딩중